여한구 통상본부장 "통상환경 변화, 한국에 더 민감…패키지 접근해야"

2025-08-11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세계 통상 환경 변화는 우리 경제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미친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FKI) 콘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된 제32차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PECC) 총회에 특별 연설자로 초청받아 이같이 지적하면 한국의 중장기 통상 전략을 제안했다.

여 본부장은 "세계 통상환경이 구조적으로 전환기를 맞고 있다"면서 '경제 이슈의 안보화, 상호의존성의 무기화,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 혁신 가속화'를 3대 변화 흐름으로 꼽았다.

이어 "무역, 기술, 공급망이 더 이상 경제 문제에 그치지 않고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사안이 됐다"면서 "최근 보호무역 기조하에서는 상호의존성을 무기로 삼아 자국 이익을 위해 상대국 압박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여 본부장은 한국의 높은 무역의존도(90% 이상)와 제조업 비중(27%)을 거론하며 ▲ 아세안·인도 등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 확대를 통한 공급망 및 시장 다변화 ▲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통상·산업·안보를 결합한 융합정책 강화 ▲ 기후변화, 공급망, 인공지능 등 신통상 규범 형성 주도의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산업과 통상은 이제 따로 갈 수 없는 정책"이라면서 전략산업과 통상협상, 해외투자, 기술협력을 묶는 패키지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태지역 정책 아이디어 인큐베이터 역할을 해온 APEC과 PECC가 아태지역 협력과 연대의 길을 함께 써 내려가자"고 당부했다.

PECC는 1980년 설립돼 정부, 산업계, 학계를 아우르는 APEC의 정책 싱크탱크다.

오는 10월 개최되는 2025 APEC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20년 만에 의장국을 맡게 됨에 따라 PECC 회의도 서울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한국경제인협회 공동 주최로 열렸다.

산업부는 APEC 회의를 앞두고 CEO 서밋(대한상의 주관),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수출 붐업 코리아 등 다양한 경제인 행사를 준비 중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