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높은 물가와 주거비 부담 속에서 결혼을 꺼리는 한국 사회의 문제를 보도했다.
닛케이는 2일(현지시간)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결혼 2년 차 부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인용해 한국 신혼부부들의 평균 결혼 비용이 3억 6173만 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건 주거비였다. 닛케이는 “한국의 전세 제도 탓에 신혼집 마련에 드는 초기 자금이 너무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결혼 비용 중 주택비는 3억 408만 원으로 전년보다 6000만 원 이상 증가했다.
결혼식 자체 비용도 가파르게 오르는 중이다.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결혼식 평균 비용은 2160만 원으로 불과 석 달 새 4% 상승했다. 수도권의 경우 2665만 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고 경상도(1181만 원)의 두 배가 넘었다.
닛케이는 또 “사진 촬영과 드레스, 메이크업을 포함한 ‘스드메’ 비용이 급등하면서 새로운 신조어 ‘스드메플레이션’까지 등장했다”고 소개했다. 스튜디오 대관료와 인건비가 함께 뛰며 사실상 결혼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과도한 비용은 청년 세대의 결혼 기피로 이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산하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지난해 실시한 조사에서 22~44세 미혼 남성 500명 중 42%가 “결혼 의향이 없거나 미정”이라고 답했다. 이유를 묻는 질문엔 ‘결혼 비용 부담’이 가장 많았고, 4명 중 1명이 이를 꼽았다.
지자체들도 나름의 해법을 내놓고 있다. 서울시 등 일부 지방정부는 공공시설을 예식장으로 개방하거나 저비용 결혼식 패키지를 마련하며 변화의 흐름을 시도 중이다. 그러나 닛케이는 “유교적 가치관이 강한 한국 사회에서는 여전히 외형과 체면, 관습을 중시하는 문화가 뿌리 깊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규모로 진행하는 ‘스몰 웨딩’ 문화가 조금씩 자리 잡고 있지만 부모 세대의 인식 변화 없이는 쉽지 않다”며 “결혼이 과연 누구를 위한 행사인지 한국 사회가 스스로 물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아파트 대신할 똘똘한 한 채"…대출 조이자 꼬마빌딩 꿈틀[집슐랭]](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7UEPZW_5.jpg)
![[사설]전문인력 해외 이탈 막을 대책이 시급하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3/news-a.v1.20251103.0c388db41cd94aa2bf86574cce728fb2_T1.jpg)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517547.jpg)
![[단독]아파트 공시가율 내년도 안 올린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GS8XG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