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내년 'AI 민주정부' 구현에 8649억 투입…행정 효율·국민 맞춤 서비스 초점

2025-09-02

행정안전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인공지능(AI) 민주정부 구현을 위해 8649억원을 편성했다. 공공 부문에 AI를 본격 도입해 행정업무 효율화와 국민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추진한다.

행안부가 2일 발표한 2026년도 전체 예산안은 76조4426억원이다. 사업비는 올해 본예산 대비 43.8% 증가한 6조6665억원이다. 지방교부세 69조3459억원, 인건비·기본경비는 4302억원으로 편성됐다.

AI 민주정부 구현 관련 주요 항목은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 206억원, 범정부 AI 공통기반 74억원, AI 행정업무 적용 187억원 등이다. 행정문서 초안 작성과 편집 지원 등을 통해 업무 적용을 확대한다.

국민 맞춤형 서비스 분야에서는 '혜택알리미' 사업이 56억원으로 증액됐다. 여기에 8억원을 신규 편성한 AI 에이전트 연계 사업을 통해 국민이 일상 언어로 요청하면 혜택 신청까지 자동으로 이어지도록 기능을 확대한다. 또 공공데이터 구축·개방 예산은 305억원으로 늘렸다.

국민 안전 확보에는 2조5197억원을 배정했다. 재난안전 AI 관제체계와 데이터 구축 124억원,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연계·역량 강화 34억원, 국민안전산업펀드 50억원을 포함했다. 재해위험지역 정비는 1조488억원, 재난대책비는 1조100억원으로 증액했다.

자치발전·균형성장에는 2조5921억원을 편성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조1500억원,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 마을기업 육성 53억원 등이다. 특수상황지역개발 1994억원,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799억원, 접경권발전지원 533억원, 섬 발전 협력사업 153억원,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107억원으로 소외지역 지원을 확대했다.

사회통합·과거사 해결에는 6898억원을 반영했다. 자원봉사 활성화 178억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184억원,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32억원,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조사·지원 86억원 등이다.

행안부는 예산안을 2일 국회에 제출했다. 예산안은 상임위와 예결위 심사를 거쳐 12월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026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은 국민행복을 최우선 목표로 '세계 최고 AI 민주정부 구현', '국가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연대와 화해에 기반한 사회통합' 등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편성했다”며 “앞으로 국회 심의과정에서 정부안이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