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알고리즘, 이제는 규제 필요할 때
“확증편향·양극화 심화…입법 검토 시급”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이 이용자에게 개인화된 정보만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면서 ‘필터버블’과 ‘에코챔버’에 가두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러한 정보 소비 구조가 확증편향을 심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정치적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다며 알고리즘에 대한 제도적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입법조사처는 지난 23일 발표한 ‘정치적 양극화와 소셜미디어의 책임’ 보고서를 통해 “플랫폼 알고리즘이 특정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노출함으로써 반대 견해에 대한 접근 기회를 차단하고 있다”며 “이제는 알고리즘 기반 추천 시스템에 대한 입법적 대응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필터버블(Filter Bubble)’은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관심사에 기반한 콘텐츠를 반복 추천하면서 이용자가 점점 더 편향된 정보만을 접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 전통 미디어처럼 다수가 공통된 정보를 공유하는 구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용자를 고립된 정보환경에 놓이게 만든다.
정보 편식 구조는 ‘에코챔버(Echo Chamber)’ 현상으로 이어진다. 에코챔버는 이용자가 자신의 기존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에만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상반된 의견이나 비판적 관점은 배제되는 현상을 뜻한다.
결국 이용자는 다양한 시각을 접할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자신의 확신만을 강화하는 ‘확증편향’으로 치닫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러한 구조가 사회 전체의 분열과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알고리즘’이 바꾸는 정보 소비…유튜브 이용자 61% “추천 영상 본다”
유튜브에서 정보 소비의 중심은 알고리즘 추천 영상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공동 조사한 ‘2024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를 보면 전체 이용자의 61%가 영상 시청 시 알고리즘이 추천한 콘텐츠를 선택한다고 답했다.
이용자들은 이러한 추천 알고리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유용하다’(64.8%)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63.1%)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60.8%)는 응답이 많았다.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맞춤형 콘텐츠가 사용자의 편의성과 몰입도를 높인 결과로 해석된다.
이처럼 편리함을 추구하는 알고리즘이 이용자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약화시키고, 사회적 합의 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상업적 목적의 알고리즘, 민주주의에 위협 될 수도”
입법조사처는 “유튜브의 추천 알고리즘은 궁극적으로 이용자의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상업적 전략에 기반하고 있다”며 “그 결과 이용자는 반대 의견에 덜 노출되고 대안적 관점을 고려할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플랫폼 사업자들이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불투명하게 운영하고 있다”며 “일반 이용자가 이를 이해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도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입법조사처는 국내외 플랫폼 사업자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이고 균형 잡힌 규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알고리즘의 공적 책임을 제도화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정보 선택권을 보장하고 민주적 정보 환경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 “알고리즘, 기술 아닌 사회 시스템…공공 감시체계 필요해”
전문가들은 유튜브 알고리즘이 단순한 기술이 아닌 여론 형성과 사회적 분열에 직결되는 ‘사회 시스템’임을 강조하고 있다.

정보사회학 분야의 한 전문가는 “필터버블과 에코챔버는 이용자들을 점점 더 편향된 정보에 고립시키고, 사회 전반의 정치적 극단화를 부추기는 핵심 요인”이라며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용자가 이를 직접 조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을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 교육 전문가 역시 “대다수 이용자는 알고리즘이 어떻게 정보를 선별하고 전달하는지 잘 알지 못한다”며 “플랫폼은 알고리즘의 기준과 운영 방식에 대해 설명 책임을 져야 한다. 이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설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알고리즘이 상업적 논리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어느 정도 불가피하지만, 그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민주주의 기반이 흔들린다면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사회적 문제로 봐야 한다”며 “청소년이나 정보 취약계층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알고리즘에 대한 공공적 감시와 책임 체계 마련이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입을 모은다. 플랫폼 기업의 자율적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며, 정책적·입법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제는 편리함 뒤에 숨은 알고리즘의 구조를 되짚어야 할 때다. 이용자의 정보 선택권을 보장하고, 민주주의의 건강한 토대를 지키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투명한 알고리즘’에 있다고 부연하고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