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식 정부 축소

2025-02-10

도널드 트럼프의 취임과 함께 그로부터 미국의 연방 정부를 대대적으로 축소하는 임무를 맡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정부효율부라는 임시 기구를 이끌며 연일 뉴스에 오르고 있다. 그는 이미 연방 정부의 지출에서 2조 달러, 약 30%를 감축하겠다고 다짐한 바 있다. 여기에는 공무원 인력의 감축도 포함된다.

세계 최대의 예산을 집행하는 정부를 몇 달이라는 기간 안에 축소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는 “지나치게 감축하는 바람에 나중에 그중 최소 10%를 복구하게 되지 않으면 충분히 감축한 게 아니다”라는 철학을 갖고 있다. 미국의 연방 공무원 중 약 200만 명이 “여러분 앞에 갈림길이 있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받았다.

미국에서 일반화된 재택 근무를 끝내고 사무실로 복귀하지 않으면 해고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이 이메일의 제목은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후 직원의 80%를 해고하면서 보낸 이메일에서 사용한 것으로, 머스크는 그 결정 뒤에 자기가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머스크의 일방적인 해고 방식은 과격하지만 실리콘밸리의 기준으로 그다지 낯선 방식은 아니다. 하지만 그런 접근이 과연 정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많다.

인력감축은 조직에서 능력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가장 낮은 직원을 골라내는 게 핵심이다. 그런데 직원 전체에 반감을 일으키는 일괄 통보는 조직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정부 밖에 나가도 환영하는 기업이 많아 얼마든지 살아남을 능력 있는 직원부터 몰아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갈 데가 없어서 충성하는 직원들이 모인 조직은 효율적인 조직이 되기 힘들다. 머스크가 인수한 트위터는 대량 해고로 비용은 절감했지만, 재정적으로는 더욱 악화되어 아직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박상현 오터레터 발행인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