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소비쿠폰에 발등 불떨어진 카드사…고객 유치전 '눈치'

2025-07-07

오는 21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13조 8000억 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카드사들이 전산 시스템 개발에 본격 돌입했다. 5년 전 국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카드사들은 고객 유치를 위한 공격적 마케팅에 나섰으나 낮아진 수익성, 당국 자제령 등에 업계는 다소 차분한 분위기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카드사들에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시스템 개발을 조속히 완료해 달라’는 요청을 전달했다. 이달 21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충전 및 결제 시스템을 완비해 달라고 주문한 것이다. 국민 한 명당 15만~55만 원이 지급되는 소비쿠폰은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원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

카드사들은 즉각 서버 증설, 가맹점 분류 작업에 착수했다. 앞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2021년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 신청자들이 몰리면서 곤욕을 치렀던 경험이 있는데 이번에는 대규모 접속도 감당할 수 있는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카드사 관계자는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시스템 개발이 급한 상황”이라며 “앞선 사례를 살피면서 시스템 정비에 전사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소비 침체에 고전하는 카드사들은 소비쿠폰에 반색하고 있다.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중 70%가 체크·신용카드로 지급된 만큼 이번에도 10조 원 안팎이 결재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내수 부진으로 시름하는 카드사에 단비가 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5년 전처럼 카드사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벌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업계의 주된 기류다. 주된 사용처가 중소형 가맹점으로 제한된 소비쿠폰은 수수료가 낮아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을 제하면 수익을 보기 어려운 구조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급 지급 당시 전업 카드사 7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은 인프라 구축 비용, 판매 및 관리비 등 제외하면 80억 원가량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가 재정이 투입된 사업을 고객 확보 등 마케팅 수단으로 삼는 것에 대한 금융 당국의 불편한 심기도 부담 요인이다.

그럼에도 한두 업체 주도로 캐시백 등 마케팅의 시작될 경우 업계 전반의 경쟁으로 번질 가능성은 남아있다. 일단 업체들은 소비쿠폰 가맹점 조회 등 비(非) 금전적 마케팅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 관계자는 “5년 전과 달리 수수료 수익이 크게 악화해 현재 별도의 마케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