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06/2GOV539ZDD_1.jpg)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의 보안 우려에 대만이 AI 관련 서비스와 법규를 강화하는 등 주권 구축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자유시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매체들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딥시크와 관련, AI 주권 구축 의지를 밝혔다고 6일 보도했다. 라이 총통은 전날 당 중앙상무위원회에 참석해 전 세계적으로 AI 서비스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딥시크가 대형언어모델(LLM) 훈련 측면에서 사상 검열과 개인 사생활·데이터의 과도한 수집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딥시크 쓸 수 있는 곳이 없네"…정부·은행·증권사도 "전면 금지"
- 토스·토스뱅크도 딥시크 금지령…금융권 확산할까
- 구글, 초경량·검색 연계로 딥시크·오픈AI 동시 견제
- ‘딥시크 충격’ 달래기 나선 정부…"AI세부 전략 마련할 것"
그는 이어 “관련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등 민주 국가들이 딥시크에 대한 통제 및 관리에 나섰다”면서 “권위주의 확장과 위협에 직면한 국가들이 자국의 AI 주권 구축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라이 총통은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해 경제와 문화 측면에서 중국 영향을 크게 받는 대만이 특히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대만의 AI 주권을 위해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서비스와 법규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만 디지털부는 지난달 말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공공 부문에 대해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