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정보유출 논란'에 이찬희 준감위원장 "위법 판단부터"

2025-11-25

준감위 7개 관리 대상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 빠져

이찬희 "직접 관리 대상 아니지만 주의 깊게 보겠다"

노조, 개인정보·노조관리 문건 방치 주장…조사 촉구

사장단 인사·등기이사 논의엔 선 그어…"관여할 위치 아냐"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최근 제기된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보유출 논란과 관련해 위법 여부 판단이 우선 중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직접 관리 대상은 아니지만 최대주주 구조 등을 고려해 사안을 주의 깊게 살펴보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개인정보와 내부 정보가 법적 기준에 어긋나 유출됐는지부터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내부 정보 유출과 관련해 "정보 유출은 시스템 원인과 개인 과실 등 유형이 다양하다"며 "위법한 영역이 있다면 확인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 준감위의 직접 관리 대상은 아니다. 삼성 준감위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생명보험, 삼성화재해상보험 등 7개사의 준법 감시 업무를 위탁 받아 수행하고 있다. 노조 이슈가 불거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직접 관리 대상은 아니지만,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인 만큼 차기 안건으로 상정할 수 있을지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상법상 자회사가 아니라 직접 감사 권한은 없다"면서도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자 준감위 관계사인 만큼 문제점이 있는지 주의 깊게 보겠다. 차기 안건으로 다룰지 위원들과 논의하겠다"고 했다.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 지부는 지난 19일 이찬희 위원장에게 '부당노동행위 및 개인정보 대량 노출 의혹' 조사를 촉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노조는 내부에서 ▲노조관리 문건(NJ리스트) ▲통상임금 소송 명단 자료 ▲신인사제도 도입 문건 ▲임직원 7만여 명 개인정보 ▲부서장·상황평가 자료 20만여 건 등이 사실상 방치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를 "단순한 관리 부실을 넘어 부당노동행위와 다수 법령 위반 가능성이 크다"며 준감위의 즉각적인 조사 착수를 요구한 바 있다.

삼성전자 사장단·임원 인사 평가와 관련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준감위는 경영 사안에 관여하는 위치가 아니다"라며 "기술 회사로서 기술 인재를 중용하는 건 자연스러운 결정"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회장님의 사법 리스크로 기술 투자가 적극적이지 못했던 측면이 있었을 수 있다"고 개인 의견을 덧붙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논의에 대해서는 "위원회가 의결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책임경영 필요성에 공감하는 위원은 많지만 제 개인적 신념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책임경영'을 강조하며 이재용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촉구하는 발언을 이어온 바 있다.

준감위 역할과 관련한 '자진 해체론'에는 "우리가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준법 문화가 체질화된다면 스스로 소멸을 향하는 조직이라는 점은 계속 말해왔다"고 밝혔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