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선조 삶 찾아 후세에 들려줘야

2025-05-22

독립 유공자 묘소 찾기 프로젝트

대한인국민회 클라라 원 이사장<1>

본지 '애국 지사 묘소 방치' 기사 계기

역사와 차세대 잇는 다리 역할 자임

3인 1조 형태로 관리할 묘비 지정

“한인 사회, 기관들 적극 참여 당부”

시간이 흐를수록 잊히고 있는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들의 묘소엔 이야기가 스며 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클라라 원 이사장은 2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묘소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들려줬더니 눈물을 흘리는 학생들도 있더라”며 “하루에 10시간씩 일하며 한 달에 26불 남짓한 돈을 벌어 조국에 독립운동 자금을 보냈던 선조들의 이야기는 그래서 계속 후세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이사장은 이를 위해 ‘다리’ 역할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이 화랑청소년재단(총재 박윤숙)과 손을 잡고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 묘소 관리 및 실태 조사를 진행하기로 한 이유다.

원 이사장은 “약 3년 전부터 차세대에게 뿌리 교육을 통해 역사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왔다”며 “지난 삼일절에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방치되고 있다는 중앙일보 기사를 계기로 이번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첫 작업은 오는 24일 오전 9시 30분 LA 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1831 W Washington Blvd)에서 진행된다. 이 묘지에는 현재 31명의 독립유공자가 안장돼 있다. 〈본지 3월 3일자 A-1면〉

대한인국민회 측은 이날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학생들과 함께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찾아다니며 묘비를 닦을 계획이다. 또,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3인 1조’ 형태로 학생들에게 담당 묘비도 지정해 줄 계획이다.

원 이사장은 “작은 성조기와 태극기에 각 묘소를 담당할 학생들의 이름을 새겨 앞에 꽂아놓을 계획”이라며 “담당하던 학생들이 대학에 가더라도 또 다른 화랑재단 청소년들이 그 자리를 메워 묘소가 계속 관리될 수 있게 시스템화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인국민회 측은 로즈데일 묘지 외에도 앞으로 할리우드포리스트론, 글렌데일포리스트론, 잉글우드 묘지 등 LA 인근 묘지에 안장돼 있는 독립유공자들의 묘소를 화랑청소년재단 소속 학생들과 함께 관리할 계획이다.

원 이사장은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등 전국 곳곳에 아직도 파악이 안 된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많다”며 “한인 사회가 함께 우리의 소중한 역사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원 이사장은 한인 단체 및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당부했다. 또한, 미주 지역에서 이루어진 독립 운동 역사와 관련해 교육과 홍보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솔직히 나도 대한인국민회에서 활동하기 전까지 미주 한인들의 독립운동 등 보석 같은 역사가 아렇게 많았는지 전혀 몰랐다”며 “한인들이 우리의 역사에 대해 무관심한 부분이 많은데, 이번 프로젝트가 역사 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발화점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미주중앙일보,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화랑청소년재단이 주관하고, 한인 은행권 최초의 리저널 뱅크이자 최대 한인 은행인 뱅크오브호프가 후원한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