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오는 2030년 돼지열병 청정화를 목표로 단계별 추진 전략에 착수했다.
100% 백신접종을 통해 지난 2017년부터 돼지열병 비발생을 유지하고, 바이러스의 순환도 확인되지 않고 있는 만큼 청정화 여건이 성숙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농식품부는 이에 따라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실효성을 높인 4단계의 청정화 추진 전략을 시행에 나가기로 했다.
우선 ‘청정화 구축단계’(2025~ 2027년)에는 신형 마커백신을 전면 도입하는 한편 전국 단위 모니터링 검사를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예산 심의를 거쳐 마커백신 교체 비용으로 연간 36억4천만원을 추가로 확보, 내년부터 농가에 공급을 추진하되 기존 생백신은 접종을 중단토록 할 예정이다.
다만 육지 보다 앞선 2029년 지역단위 청정화를 목표로 한 제주도의 경우 이미 희망농가에 대해 마커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만큼 별도예산은 불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정화 확인단계’(2028~2029년 상반기)에는 야외바이러스와 백신 항체 감별 진단법을 전면 도입, 야외바이러스 감염축과 백신접종축을 구분함으로써 농장간 바이러스 순환이 없음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발생위험도 평가도 추진, 그 결과에 따라 백신 전면중단 1년후 청정국 인증을 추진(1안)하거나, 마커백신 접종 유지(2안) 상황에서 청정국 지위를 인증받는 두 개안 가운데 선택해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청정화 달성단계’(2029년 하반기~2030년)에는 1안 적용시 마커백신 공급중단과 함께 접종 금지 명령 조치를 내리고 시도별 가축방역심의회 등을 개최, 지역단위로 청정화 지위 인증 요건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미흡사항에 대해서는 자체 보완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는 2029년 7월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 청정국 지위 인증을 요청, 2030년 5월경 최종 청정 지위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