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시대 돌봄 인문학 주제로 돌봄 패러다임 전환 견인
[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는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인문한국(HK) 3.0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1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인문한국 사업은 세계 수준의 인문학 연구 거점을 육성하고 인문학 분야 학문 후속 세대 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비교문화연구소는 연구 거점형으로 선정돼 '행성시대의 돌봄 인문학 : 단절과 고립에서 상호 의존과 보살핌의 공생 네트워크로'를 아젠다로 연구에 나선다.

비교문화연구소는 고립 확산, 기술 양극화, 기후 재난을 비롯해 사회 전반을 둘러싼 다층 위기에 '돌봄'을 사회 공동체 회복을 위한 시대 과제로 인식하고, 지금까지 돌봄 개념을 넘어 사회·기술·생태를 포괄한 '행성 돌봄'이라는 인문융합형 패러다임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돌봄 위기에 대한 응답▲지구 손상과 기술 불평등이 초래한 위기 대응▲돌봄 연구의 전 지구 관점 확보▲기존 돌봄 패러다임을 극복한 행성 돌봄 인문학 정립이라는 세부 연구 목표를 세웠다.
연구는 2단계, 3개 영역으로 진행한다. 1단계에서는 '돌봄 위기 분석과 행성 돌봄 인문학 모색'을 주제로, 2단계에서는 '행성 돌봄 인문학 이론화와 실천 모델 제시'를 주제로 연구한다.
각 단계는 사회·기술·생태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전 세계 7개 지역 사례를 분석한다.
비교문화연구소는 학제 간 융합 연구로 개별 학문 분야별로 진행했던 연구 지평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 지역별 비교 연구로 돌봄 연구를 활성하고, 행성 돌봄 연구로 지구 문제에 적극 이바지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을 결합한 인문학 모델을 창출한다.
학문 후속세대를 육성하기 위한 생애주기 연구 돌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C2C(Care to Care)라고 이름 붙인 해당 프로그램은 학부생부터 교수까지 성장을 돕도록 설계했다.
이로써 비교문화연구소는 연구 성과의 확산을 도모하고 돌봄 실천의 허브 연구소로 거듭날 계획이다.
이택광 비교문화연구소장은 "비교문화연구소는 행성 돌봄 연구로 돌봄 사회로 전환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했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