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 미래모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의 국내 적용 방안,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정책·산업적 활용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서도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결제, 단일 인프라 필요성, 규제와 수용성, 통화 주권 관점 실사용 사례 발굴 등과 관련한 질문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AI 에이전트 시대의 소액 과금, 국내 규제 체계와 수용성,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초기 실사용 사례 발굴이 향후 성패를 가를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홍성인 비씨랩스 대표는 AI 에이전트 시대의 스테이블코인 확장 가능성에 대해 “선동 같은 움직임이 있을 때 어느 순간 AI봇이 엄청나게 돌아다닌다”라며“트위터 인플루언서를 찾아다니며 대상을 인식하고 댓글을 달아 자기주장을 쓰고, 건당 1센트씩 요금이 부과되면 그 로봇을 만든 사람이 계속 돈을 창출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달러 결제망이 필요 없이 코인으로 요금이 부과되는 방식으로 서비스든 무엇이든 AI 에이전트가 이를 간편하게 처리한다”라며 “아주 협소한 사례처럼 보이지만, 사물간통신(MTM) 거래가 복잡해질수록 하나의 블록체인 안에서 돌아갈 때 혁신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경철 디오티스 대표는 “미국에서 물건을 사면 관세 등 국내 제도에 걸린다”며 “실물 배송이 없는 AI 구독 서비스의 경우 지금은 달러 결제나 원화로 매달 과금하는 구조인데, 국내에서는 왜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안 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가능해진다면 기존 결제망과 스테이블코인 중 어느 쪽이 더 싼지 비교해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장은 규제를 풀어야 하는 영역이 있고, 우리 사업 측면에서도 챙겨야 할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다.
홍성인 비씨랩스 대표는 “비자·마스터가 스테이블코인과 손잡은 이유도 스테이블코인이 직접 결제로 가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아직은 비자·마스터가 결제 접점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어 그 구조가 고착될 수 있다”면서도 “한편으로는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주고받아도 시스템을 갖춘 참여자들끼리는 중간 단계를 생략하는 방향도 가능하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는 앞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 많다”면서 “변화의 출발점이 어디일지는 모르지만, 바뀔수록 받아들이기 어려워지고 저항도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민수 핑거 부회장은 통화 주권 관점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제도적 안착을 촉구했다. 그는 “글로벌 체제는 여전히 국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데 인권, 국가 기반, 정치·경제 주권, 그리고 화폐·통화 주권이 있다”며 “트럼프 변수로 아프리카·아시아 정세가 요동치고, 일본·중국도 불확실한 상황에서 한국이 통화·경제 주권을 지키려면 어떤 형태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고 안착시키며 실사용 사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민수 부회장은 “환율로 부를 축적하느냐, 어떤 통화를 가져야 하느냐 같은 투자 관점이 아니라 실사용이 우선돼야 한다”면서 “그런 시기에 시장을 어떻게 형성할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성인 대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속도에 대해 “가능하다면 빨리 도입해야 하고 무조건 부정하고 늦추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우리만의 생태계를 만들어서 편리함을 극대화하면 이용자는 자연스럽게 모인다”고 내다봤다.
박유민 기자 newmin@etnews.com
![[정보통신 미래모임] 홍성인 비씨랩스 대표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패권 연장·결제 혁신의 열쇠”](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9/news-p.v1.20251029.3fdd3974985f4535b901e8b08ccb0a62_P1.jpg)
![EBANX “아시아와 라틴 잇는 스테이블코인 결제 허브 될 것" [디센터 인터뷰]](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RKVZG_1.jpg)

![[GAM] SMCI, 美 연방 정부 시장 겨냥한 새 자회사 설립](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2025 국감] 배경훈 부총리 "AI 기본법 사실조사권 유예 검토 중"](https://img.newspim.com/news/2025/10/29/2510291246245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