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인물, 계엄 관련 기록물 은폐 우려 빚어
행안부 “필요한 모든 절차 통과한 인물 없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출신 인사가 최종후보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되던 대통령기록관장의 채용 절차가 중단됐다.
행정안전부는 2일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대통령기록관장으로 채용되는데 필요한 모든 절차를 통과한 후보자가 없어 이번 대통령기록관장 채용 절차는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어 “각 후보자의 인적 사항, 어떤 절차를 통과하지 못했는지 등은 시험 및 인사관리, 개인정보에 관한 사항으로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알려드릴 수 없음을 양해해주시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대통령기록관장 채용은 6월3일 대선 이후 들어설 차기 정부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앞서 이동혁 현 대통령기록관장은 2023년 11월 임기 5년의 관장직에 부임했다. 일반공무원인 이 관장은 올해 말 정년퇴임을 앞둬 공로 연수를 희망했고, 이에 따라 새로운 대통령기록관장 채용 절차가 시작됐다.
하지만 면접을 통과한 최종후보 2인 중 한 명이 용산 출신 인사로 알려지면서 기록물 관련 전문가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반대 여론이 컸다.
이들은 해당 인사가 대통령기록관장이 되면 12·3 불법계엄 관련 기록을 비롯해 대통령실 용산 이전, 부정·특혜 채용, 이태원 참사, 해병대 수사 외압 사건, 명태균 게이트, 대왕고래 프로젝트 등 각종 의혹과 관련한 중요 증거들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그간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관 실무를 총괄하는 대통령기록관장을 교체한 전례가 없다는 점도 논란을 키웠다. 대통령기록관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들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마친 뒤 본격적인 기록물 이관작업에 나선 상황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채용 절차는 종료됐으며, 앞으로 언제 다시 채용 절차를 진행하게 될지 여부 등을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