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유휴부지 용도 변경해 공공주택 공급...보유세 단계적 강화”
박주민 "정부의 AX 전환에 맞춰 AI 인프라 구축...많은 사업 가능"
김영배 "'기후테크 도시', '반값 생활도시'로 일 잘하는 시장이 될 것"
홍익표 “서울시장 된다면 강북 지역 약 20조 원 투자 계획 추진할 것”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선거를 ‘최대 승부처’로 보는 더불어민주당의 잠재적 서울시장 후보들이 '뜨거운 감자'인 부동산 정책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오세훈 서울시장의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과 재건축 완화 및 정비사업 정책을 겨냥해 주택·교통 등 주요 인프라 분야에서 대립 구도를 형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서울시장 잠재 후보군으로 꼽히는 박홍근·박주민·김영배 의원, 홍익표 전 원내대표 등은 각자의 색깔을 선보이는 정책 카드를 속속 꺼내들고 있다.
민주당 서울시장 잠재 후보군들은 지난 17일 열린 ‘서울시당 민주뿌리위원회 정치아카데미’에서 ‘공공주도 주택 공급’, ‘보유세 단계적 강화’, ‘강북 인프라 확충’ 등 정책 비전을 내세우며 ‘서울 탈환’을 위한 예열에 나섰다.

박홍근 의원은 “주택공급은 공공이 선도해야 한다. 유휴 부지를 빠르게 용도 변경해 많은 주택을 공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서울의 3가지 과제로 ‘불안정·불균형·불평등’을 꼽고 ‘보유세 단계적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주민 의원은 “오 시장이 쓰는 돈만 제대로 써도 상당히 많은 사업을 할 수 있다”며 정부의 인공지능(AI) 전환(AX) 기조에 맞춘 AI 인프라 구축 등을 약속했다.
김 의원은 “말 잘하는 시장이 아니라 일하는 시장이 되겠다”며 ‘기후테크 도시’, ‘반값 생활도시’ 등을 정책 비전으로 제시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서울시장이 된다면 강북 지역에 약 20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데이터처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9월까지 약 5년간 서울의 인구 누적 순유출 규모는 총 23만1609명으로, 연평균 8만~9만 명이 서울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5년 3월 기준 서울 전·월세가격지수는 각각 94.1, 107.0으로 전국 평균 93.7, 105.6보다 0.4포인트, 1.4포인트 높았다.
인구 순유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주택 문제로 분석된다. 특히 월세 거주 청년들의 높은 주거비 부담과 소득 대비 생활비 격차가 서울 생활의 장벽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울은 높은 전·월세 비용을 감당할 만한 생활 환경의 메리트가 약해졌다”며 “양보다 가격 안정 중심으로 주거비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대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전·월세 상승률과 인구 순유출이 서울시의 공급 속도 확대 주장과 달리 체감 효과가 낮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서울시는 공급 확대만 외치고 있을 뿐 실제 주거비 부담은 전혀 줄지 않고 있다”며 “속도만 있고 효과는 없는 정책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고, 한강버스 사고·종묘 앞 세운4구역 재개발 갈등 등 현안을 잇달아 지적하며 오 시장의 시정 실패를 집중 비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