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진실화해위)의 조사 기간 종료를 앞두고 시민단체들이 “의문사 사건 조사 중단 이유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박선영 진실화해위원장이 진실을 왜곡했다면서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단체연대회의(추모연대) 등은 13일 오전 서울 중구 진실화해위 앞에서 ‘진실·화해위원회 박선영 퇴진 촉구! 의문사 부실 조사 규탄’ 집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결의문을 내고 “진실화해위에 접수된 24건의 의문사 사건을 종합보고서에 수록하라”고 촉구했다. 조사가 중단된 16건에 대해서는 “조사가 명확히 이뤄질 수 없었던 이유를 명확히 기재해 조사 내용의 한계를 숨기지 말라”고 했다.
이들은 박 위원장의 사퇴도 촉구했다. 최종순 유가협 의문사지회장은 “진실화해위는 국가 폭력을 정당화하는 이들이 앉아있을 자리가 아니다. 기간을 연장하려고 꼼수를 부리지 말라”며 “지금 진실화해위의 남은 임무는 3기 진실화해위가 시행착오를 줄이고 제대로 진상규명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만들어 공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택범 안치웅추모사업회 대표는 “박 위원장은 해야 할 일은 하지 않고 방해하고 있고 진실화해위는 의문사 진상 규명을 위해 국가기관과 싸우기는커녕 손을 놓고 있다”며 “진실화해위를 새로 만들어서 제대로 된 활동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8일 박 위원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출석해 ‘5·18 북한 개입설’과 관련해 “진실 여부를 모른다”고 대답해 논란이 됐다. 추모연대는 이와 관련해 “온 국민이 아는 전두환 신군부가 저지른 만행의 진실을 정면으로 왜곡·부정하는 것”이라며 “진실화해위는 남은 기간 과거 청산을 위한 책임을 다하고 올바른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해 피해자 권리가 포함된 ‘3기 진실화해위법’을 개정하라”고 했다.
2기 진실화해위는 과거사정리기본법에 따라 구성된 국가 차원의 독립적인 조사기관으로 2021년 출범했다. 2기 진실화해위의 조사 기간은 오는 26일 종료된다. 이후 11월26일까지 종합보고서를 작성해 국회에 보고한 후 모든 활동이 종료된다. 박 위원장의 임기도 11월26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