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 아니라 신라 때부터 쓰던 ‘한가위’로

2024-09-15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요즈음 뉴스 제목를 보면 “‘추석선물 도착’…이 문자 조심하세요”, “추석 풍경도 변화…‘혼추족’과 여행객들로 달라진 명절”, “추석 연휴 환자 몰리는 응급실…경증ㆍ중증 구분법은?”처럼 명절 ‘추석’에 관한 얘기가 넘쳐납니다. 거기에 한술 더 떠서 “한가위만 같아라? 기후 위기가 만들어 낸 ‘찜통’ 추석”처럼 ‘한가위’와 ‘추석’을 섞어 써놓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한가위’ 경기도 ‘둥근 보름달’ 명소 6곳”처럼 ‘한가위’라는 말만 쓴 기사도 보입니다.

우리는 똑같은 명절 이름을 두고도 이렇게 혼란스럽게 써야만 할까요?

"신라 유리왕 9년에 국내 6부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두 왕녀가 그들을 이끌어 7월 기만(음력 열엿새)부터 길쌈을 해서 8월 보름까지 짜게 하였다. 그리곤 짠 베의 품질과 양을 가늠하여 이기고 짐을 결정하고,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게 하였다. 이날 달 밝은 밤에 임금과 벼슬아치를 비롯해 많은 백성이 지켜보는 가운데 왕녀와 부녀자들이 밤새도록 ‘강강술래’와 ‘회소곡(會蘇曲)’을 부르고, 춤을 추며 질탕하고 흥겹게 놀았다.“

위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나오는 것으로 신라 때 길쌈놀이(베짜기)인 '가배' 이야기입니다. 이 ‘가배’가 변하여 ‘가위’가 된 것인데 이 신라 때부터 유래한 한가위는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지요. 그러나 ‘추석’이라는 말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의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하는데 여기서 ‘추석월’의 뜻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 제사를 드린다는 뜻이었기에 우리의 명절과 잘 맞지 않는 말입니다. 따라서 배달겨레인 우리는 ‘추석’보다는 신라 때부터 써온 ‘한가위‘라고 써야만 합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