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우주로 간다"…2028년 자체 큐브위성 띄운다

2025-11-14

우주청과 협력 속도…기술 검증 계획 마련

사이언스파크 중심으로 계열사 기술 결집

누리호 참여 이어 독자 발사로 우주전략 확대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가 우주항공청과 다시 만나 기술 검증 계획과 협력 방향을 논의하며 우주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사이언스파크는 통신모듈과 카메라, 배터리 등 계열사 기술을 모아 우주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하고 있다. LG는 오는 2028년 자체 큐브위성 발사를 목표로 독자 우주 전략을 본격화한다.

LG사이언스파크는 14일 우주항공청과 만나 우주산업 협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지난 6월 첫 간담회 후 이날 경남 사천 우주청 본청에서 다시 회동했다. 이 자리에는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와 김민수 기술전략담당, 박태홍 글로벌O/I실장이 참석했다. 우주청에서는 윤영빈 청장과 노경원 차장, 한창헌 산업국장이 자리했다.

LG는 우주산업 진출을 위한 기술 검증 계획과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통신모듈과 카메라, 배터리를 비롯해 가전과 디스플레이, 데이터센터 기술을 모아 미래 사업 모델을 찾겠다는 방침이다.

LG는 자체 큐브위성 발사도 검토 중이다. 위성 탑재 기술 검증 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며 오는 2028년 발사를 목표로 한다. 누리호 4차 발사에는 큐브위성 컨소시엄으로 참여했으며 향후에는 자체 위성 발사로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큐브위성은 10×10×10cm 규격의 초소형 위성이다. 누리호 4차 발사에서는 12기가 탑재돼 다양한 임무를 맡는다.

정수헌 대표는 "누리호 4차 발사의 성공적 진행을 기원하며 LG도 이번 발사로 부품을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Winning Tech(이기는 기술)를 확보하려 한다"며 "LG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우주시장 개척에 나서 국가 우주개발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LG의 우주 관심은 계열사로 이어진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12일 미국 스타트업 사우스8과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을 시작했다. 이번 협력은 KULR 테크놀로지 그룹과 미국 항공우주청이 추진하는 항공우주 사업의 일환이다. 사우스8은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업체로 LG에너지솔루션과 최종 배터리 셀을 제작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16년 미국 항공우주청 우주복 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된 바 있다. 우주복 배터리는 산소 공급 장비와 통신장비, 방사능 측정 장비의 핵심 역할을 한다. LG 배터리는 엄격한 시험을 통과했다.

LG사이언스파크는 지난해 무인탐사연구소를 육성 스타트업으로 선정해 올해부터 지원 중이다. LG는 올해 1월 기술협의회에서 우주산업 기회를 검토하는 자리도 가졌다. 회의에는 조남석 대표가 참석해 정밀 탐사 로버의 현장 기록과 전송 활동을 기반으로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시장 성장세도 가파르다.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항공시장은 지난해 4766억 달러에서 오는 2034년 1조121억 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7.86%다. 모건스탠리는 세계 우주산업 규모가 2030년 5900억 달러, 2040년 1조1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봤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