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에 파견돼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등을 수사해 온 한문혁 서울중앙지검 반부패3부장 검사가 오는 27일 자로 파견이 해제돼 원대 복귀한다. 한 부장이 2021년 도이치 주가조작 사건의 피의자이자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지목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와 음주를 겸한 식사 자리에 동석한 사실이 드러나며 수사의 공정성·중립성을 해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 특검팀은 파견 해제를 결정했다.
특검팀은 26일 “한 부장검사가 수사를 계속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사실관계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한 부장검사가 이 전 대표와 식사한 시점은 2021년 7월이다. 당시 식사 자리는 한 부장검사의 지인 A씨가 주도해서 만든 자리로 5명이 참석했다. 이 중 한 명이 이 전 대표로, 서울 성동구의 한 식당에서 술자리를 겸한 식사 이후 A씨의 자택에서 2차 술자리가 이어졌다고 한다.
2021년 지인 초대 식사자리서 이종호와 동석

이 전 대표와의 식사가 이뤄진 이 때는 한 부장검사가 도이치 주가조작 사건과 코바나컨텐츠 협찬 의혹 등 김 여사 관련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 부부장검사로 합류한 시기이기도 하다. 한 부장검사는 2021년 7월 2일 반부패수사2부 부부장검사로 부임한 이후 코바나콘텐츠 협찬 의혹을 맡았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당시 박기태 부부장검사가 주도했다. 다만 도이치 주가조작 의혹 수사가 확대되며 한 부장검사 역시 도이치 주가조작 1차 주포인 이정필씨 사건 수사를 일부 담당했다고 한다.
한 부장검사는 당시 수사팀이 김 여사에 대한 기소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던 중 2022년 7월 의정부지검 남양주지청으로 전보됐다. 이후 지난 4월 서울고검이 재기수사를 결정하며 재수사팀에 합류해 다시 한번 도이치 사건을 맡았다. 김건희 특검팀이 출범한 이후엔 도이치 사건 수사팀장으로 파견됐다. 식사자리 이후 이 전 대표가 한 부장검사에게 사건과 관련한 청탁·민원을 하거나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수사의 공정성을 위해 한 부장검사 스스로 수사팀 합류를 회피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식사값 10만원 결제…당시 이종호 몰랐다"

한 부장검사는 술자리 접대 의혹에 대해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시 지인 A씨 이외에 외부인이 있어 괜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생각에 식사값으로 현금 10만원을 냈다”며 “식사 시점엔 중앙지검 소속이었지만 도이치 주가조작이 아닌 코바나콘텐츠 협찬 의혹 등을 주로 수사하던 시기라 이종호라는 사람의 존재는 물론 사건과의 관계성 자체도 몰랐다”이라고 해명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한 부장검사는 26일 입장문을 통해 “논란을 일으킨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약속장소인 식당에 갔더니 지인이 만나던 여성분과 낯선 남성이 있었고, 간단히 인사한 후 식사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이종호는 도이치모터스 피의자가 아니었고, 상대방이 구체적인 소개를 하지 않아 도이치모터스 관련자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며 “이후 이종호를 개인적으로 만나거나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박노수·김경호 특검보 두 명 추가 합류
특검팀은 최근 이 전 대표 측 인사로부터 한 부장검사와의 식사 사실과 사진 등을 제보받았다. 다만 특검팀은 임시조직인 탓에 감찰·징계와 관련한 규정이 분명치 않아 한 부장의 입장을 확인하는 수준에서 조사한 이후 파견 해제를 결정했다. 특검팀의 파견 해제 후 검찰은 한 부장검사가 이 전 대표와 식사자리를 가진 배경과 이후 수사 관련 청탁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진상조사·감찰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날부터 박노수 변호사(사법연수원 31기)와 김경호 변호사(22기)가 특검보로 추가 합류한다. 두 특검보 모두 판사 출신이다. 이외에 수사팀 인력으로는 김일권 제주지검 부장검사와 평검사 등 2명이 추가로 파견됐다. 이들은 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 등 특검팀에서 수사 중인 김 여사의 잔여 의혹 사건 수사에 투입될 예정이다.
![[속보] 김건희특검, 새 특검보로 박노수·김경호 변호사 임명](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TLTOHP_2.jpg)


![[단독]검찰 보완수사요구, 대부분이 ‘경찰에 떠넘기기’?···“사건 지연돼 피해자 고통”](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6/news-p.v1.20250908.ddb1bad19d8d4fc5863c0a42d39bbb2f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