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 애플페이, 더는 늦출 이유 없다

2025-08-07

애플페이가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면서 외연을 넓히고 있다.

이제 한국에서도 범용성을 갖춰가는 모양새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다른 카드사와의 연동이다. 현재 현대카드 지원에만 멈춰있다. 국민카드와 신한카드 등은 금융당국에 약관 승인을 앞두고 있지만, 정권 교체 등 여러 사안에 밀려 멈춰선 상황이다.

세계적인 간편결제 시스템이자 글로벌 표준 중 하나로 자리 잡은 애플페이가 여전히 한국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셈이다.

이미 수년 전부터 주요 국가에서 활발히 사용 중인 서비스임에도, 국내에서는 도입 지연과 제한된 서비스 범위로 인해 소비자와 시장 모두 불편을 겪고 있다. 한국 경제 디지털 경쟁력과 소비자 편익 제고를 위해서라도 애플페이의 전면 도입은 더 이상 늦춰져서는 안 된다.

한국은 디지털결제가 일상화된 나라다. 전통 금융사부터 빅테크에 이르기까지 자체 간편결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애플페이는 보안성과 편의성을 두루 갖춘 비접촉식 결제 시스템이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실물 카드를 꺼내지 않고도 손쉽게 결제할 수 있고 생체 인증을 통한 보안도 우수하다. 이미 미국, 유럽, 일본, 싱가포르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주요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에 비해 한국은 도입이 늦어진 데다, 여전히 NFC 단말기 보급률이 낮고, 모든 카드사나 은행이 참여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결제 과정에서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안드로이드 사용자 중심으로 성장한 삼성페이나 카카오페이와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된다. 더욱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 산업 측면에서도 부정적이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애플페이 사용자들은 사용 제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글로벌 수준 결제 환경을 갖추지 못한 점은 한국의 디지털 이미지에도 손해다.

물론 애플페이 도입 과정에서 가맹점 수수료 문제나 단말기 교체 비용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상존한다. 하지만 이는 이미 다른 국가들이 거쳐온 조정 과정이며, 시간이 지나며 대부분 해결된 사안들이다. 오히려 해당 기술 도입을 늦춤으로써 한국 기업과 소비자가 겪는 기회비용은 훨씬 더 크다. 지금은 디지털 인프라를 선도해야 할 시점이지, 신기술 도입을 망설이며 주저앉아 있을 때가 아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단순히 민간 기업 간 협의에 맡길 것이 아니라, 결제 시장 혁신과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조율이 필요하다. 공정한 경쟁 환경과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해서라도 애플페이의 전국적 확산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빠르게 해소해야 한다. NFC 인프라 확대, 카드사와의 협력 촉진, 수수료 문제의 제도적 완화 등 실질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 중심의 사고다. 이미 상당수 소비자들이 애플페이를 원하고 있고, 아이폰 점유율 또한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다. 특정 기업의 이해관계나 기존 산업 구조만을 우선시하는 사고로는 글로벌 시대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 세계 주요 국가들이 이미 경험한 변화를 한국만 외면할 이유는 없다.

디지털 결제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이는 소비자 생활의 질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기반 인프라다.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은 애플페이의 도입과 확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한민국이 디지털 선도국가로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애플페이 전면 도입을 위한 정책적 결단과 실행이 절실하다.

길재식 기자 osolgil@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