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전국적으로 마약사범이 급증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에서도 마약류 거래가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온라인을 통한 마약류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7일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국회의원(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마약류 단속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만2천387명이었던 마약사범 검거 인원은 지난해 1만3천512명으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지난해 기준 20대가 4천793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천331명(24.6%), 40대 1천921명(14.2%)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온라인을 통한 마약류 거래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21년 2천545명이던 온라인 마약류 사범은 2023년 4천505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SNS, 다크웹, 메신저 앱 등 유통 채널이 과거와 달라져 마약 거래의 비대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북지역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이날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도내 마약사범 검거 건수는 2022년 204건, 2023년 335건, 지난해 291건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 중 2030세대가 453명으로 전체의 54.5%를 차지하면서 청년층의 마약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지난 2020년 8월 익명성이 보장되는 텔레그램과 특수한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접속할 수 있는 다크웹을 통해 대마와 액상 대마 등 마약 2천500만원 상당을 유통한 A(30대)씨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당시 A씨는 채팅방과 판매 방을 여러 차례 개설하고 대화 내용을 삭제하는 이른바 ‘폭파’ 방식으로 수사기관 추적을 따돌렸으며, 판매 대금도 현금이 아닌 가상화폐(비트코인)로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정현 의원은 “마약 거래 방식이 변화하고, 마약사범의 연령대가 점점 어려지고 있다는 점은 마약 범죄가 우리 사회 전반으로 깊이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다”며 “온라인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고, 국내 일선 관서에서의 수사관 증원하는 한편, 마약류 범죄 수익 환수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양서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