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dailydental.co.kr/data/photos/20250207/art_173934891944_add184.jpg)
치과 환자 상담, 경영 관리 등에 있어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활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중국산 생성형 AI 모델인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안전성·보안 리스크가 도마에 오르면서 개원가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4일 정부 부처, 금융권을 중심으로 딥시크 차단 기류가 확산하는 추세로 11일에는 국회사무처도 딥시크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
치과도 딥시크와 같은 AI 솔루션 도입 시 환자 개인정보 유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진료 기록과 개인정보가 외부 서버에 전송되면서 유출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데, 개발사가 데이터를 무단으로 활용하거나 AI 모델 재학습에 사용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 악성 코드로 인한 병원 네트워크 공격, 오진 및 진료 혼선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AI 사용이 법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가령 중국산 AI 솔루션의 경우 서버나 데이터센터가 중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의료 데이터가 해외로 이전·보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환자의 명확한 동의 없이 AI 기업에 정보가 제공되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등 법적 분쟁에 휘말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해외 AI 솔루션이 국내 윤리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지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딥시크 대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AI 솔루션으로는 국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이 추천된다.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나 PIPC(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인증을 받은 네이버 클라우드, KT 클라우드 등이 그 대안으로 꼽힌다. 또 기술 관련 기업이 활용하는 AI를 도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들 기업이 활용하는 AI의 경우 보안이 비교적 철저한 편이기 때문이다. 병원 내부 서버에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인트라넷형 AI 활용도 보안 강화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치과에서 AI를 도입할 경우, 환자의 실명·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비식별화 조치를 해야 한다. 또 병원 맞춤형 AI 솔루션을 구축해 개인정보보호법과 의료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용으로 자체 챗봇을 제작하거나 AI 프로그램을 치과 환경에 맞춰 제공 받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AI 활용에 앞서 점검해야 할 사항을 체크리스트로 관리하는 방법도 추천된다. 또 직원의 직책에 맞게 AI 모델 접근 권한을 부여하거나, AI 활용 수칙을 매뉴얼화 하는 방법도 있다.
정석환 한국인공지능교육연구협회 부회장(감탄치과의원 원장)은 “향후 AI 보안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을 대비해 치과도 내부 규정을 명확히 하고 정기 보안 교육을 실시하고, 주기적으로 안전성을 평가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도 표준 가이드라인과 인증제를 마련해 AI 활용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고, 보험 수가 연동 등을 통해 안정적인 AI 도입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