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관문∙냉장고 열림으로 안부 확인∙∙∙「고령∙독거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시범사업」 본격 추진

2025-08-28

IoT 기반 문열림 센서 부착∙∙∙실시간 안부확인

지자체 협력 강화 등도 추진

[바이오타임즈] 국가보훈부(장관 권오을)는 28일 고령∙독거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 예방을 위해 400여 명의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기반 실시간 안부확인 서비스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가보훈부는 지난 4월 6∙25전쟁과 월남전 등 참전 경험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 위험이 높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 발표했다. 후속 조치로 고독사 위험 정도에 따라 분류∙지원하기 위해 취약계층 1인 가구 8,500여 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위험도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올해 시범사업은 실태조사를 통해 ‘고독사 고∙중∙저 위험군’으로 분류된 국가유공자 중 본인 동의 등을 거쳐 약 400가구를 대상으로 현관문과 냉장고 등에 IoT 기반 문열림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안부를 확인하는 사업이다. 국가보훈부는 올해 시범사업 후 내년에는 전체 위험군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이 28일 대상 국가유공자 자택을 방문하는 ‘고독사 예방정책 현장 점검’을 시작으로 본격 추진된다. 강윤진 차관은 이날 서울지역 고령∙독거 국가유공자 자택 2곳을 방문해 문열림 센서 기기를 설치와 작동 여부 확인하고 생활 환경 등을 살필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민간 협업 업체인 박영완 퀄컴(Qualcomm)코리아 상무와 소태수 루키스 대표 등이 함께한다.

국가보훈부는 이번 안부확인 시범사업 이외에도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인공지능(AI) 기반 안부 전화를 비롯해 민∙관협업을 통한 혹서기∙혹한기 찾아가는 안부확인, 복지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사업을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국가유공자법) 등 6개 법률 개정을 추진해 고독사 예방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의 고독사 예방사업에 국가유공자가 우선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협의하는 등 협력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강윤진 차관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신 국가유공자에게 합당한 보상과 예우는 물론 건강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보훈 의료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더욱 세심하게 살펴가겠다”고 밝혔다.

[바이오타임즈=염현주 기자] yhj@biotimes.co.kr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