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곳 환승 거점 대수술"…내년 초 4차 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 고시

2025-11-14

'2030 환승센터 로드맵' 윤곽 나왔다…내년 초 예상

GTX·고속도로·생활권 환승까지 포함

미래형 환승센터 설계 기준도 손본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전국 환승체계의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한 '제4차 환승센터 기본계획'을 내년 1분기 중 확정해 발표한다. 수도권 철도 연계 거점부터 고속도로형 환승시설(EX-허브), 지방권 철도 환승까지 폭넓게 확장한 이번 계획은 환승서비스 품질 향상과 지역 간 균형발전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내년 초 '제4차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2026~2030년)이 고시될 예정이다. 당초 연말까지 수립될 예정이었으나 사업지 확정 등에서 다소 시간이 소요되면서 내년 2월께로 밀렸다.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은 전국 교통 기반의 균형적인 성장을 유도하고 모빌리티 중심의 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해 수립하는 로드맵이다. 4차 계획은 ▲수도권 광역교통 거점의 환승센터 확충 ▲지방권 신규 철도 개통 예정지 중심의 환승 거점 확대 ▲고속도로 연계형 환승시설(EX-Hub) 포함 ▲생활밀착형 소규모 환승시설 지원에 방점을 둔다.

수도권과 지방권을 포함한 약 70여개 환승 거점을 우선 검토 대상으로 선정했다. 수도권에서는 총 41개 사업을 검토한다. 환승센터 24곳(59%), 복합환승센터 17곳(41%)이다. 지방권에서는 총 32개 사업을 검토할 예정이며 부산·울산권이 11곳으로 가장 많다. 고속도로 연계 환승거점 21곳과 소규모 생활밀착형 환승시설 42곳도 추가로 고려한다.

사업지를 선정할 때는 환승 서비스수준(LOS)이 낮거나 환승 형태 다변화가 필요한 지점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대중교통 수요가 높지만 환승 만족도가 떨어지는 곳, 개인형 이동수단(PM)·택시 등과의 연계가 미흡해 개선 필요성이 높은 지점 등이 해당된다. 국 철도역사 등 광역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교통결절점, 지방자치단체의 추진 의지와 국정과제 연계성도 중요한 판단 요소로 반영된다.

권역을 기준으로 수도권은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신규 철도 개통 예정 노선과 환승 수요가 높은 지점, 고속도로 연계·생활밀착형 거점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지방권은 고속철도와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구축, 도시철도·BRT(간선급행버스체계)·버스 간 환승체계 개선에 중점을 둔다.

제도 개선 사항도 대폭 포함됐다. 현재 철도-철도 간에만 적용되는 '환승 편의성 검토 제도'를 고속도로·버스환승 등으로 확대하고, 국비 지원율을 상향해 지자체 재정 부담을 낮추는 방안이 도마에 올랐다. 복합환승센터의 경우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규제 완화 및 인센티브 확대도 포함됐다.

AI(인공지능) 기반의 환승센터 운영·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교통카드 정산 데이터, 환승 통행량, 동선 혼잡도 등을 통합 관리해 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환승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한다. 지자체와 중앙정부, 운영사 간 거버넌스도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미래형 환승센터 구축도 본격화된다. 자율주행차·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교통수단을 고려한 설계 기준을 세우고 대전·마산·강릉·평택 지제역 등 1차 공모 선정지의 결과를 토대로 적용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기존 설계 기준에 적용되지 않던 대용량 고속 엘리베이터나 입체 환승 동선 등의 반영도 추진된다.

박태윤 한국교통연구원 박사는 "환승센터는 단순한 교통시설을 넘어 지역 경제와 도시 구조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전략 거점"이라며 "수도권 혼잡 완화와 지방권 균형발전을 동시에 실현하는 구조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