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로 일자리 안정화, 경기도서 첫발 뗄까 [일터의 문턱, 장애를 넘어⑤]

2024-10-23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

기자페이지

인식개선교육 연구, 전국 첫 도내서 지자체 제도 개선 이어질지 쏠린눈 “장애인 중심 강사 체계적 양성을”

장애인 일자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만이라도 울타리를 더 열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전국 최초로 경기도 내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늦어도 이달 말 완료될 것으로 보이는 해당 연구는 지자체 제도 개선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23일 경기도 내 장애인단체 등에 따르면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는 지난 5월부터 ‘장애인식개선교육 개선방안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현행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교육을 제공하는 강사를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층 더 전문적으로 키워내자는 취지다.

이 안에는 장애인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라는 직업군을 고품질로 확립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현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을 통해 양성된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는 전국 약 5천명(올해 기준)으로 집계된다.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법제화(2016년)되기 이전 민간 장애인단체나 복지기관에서 민간 자격증으로 강사교육을 수료한 인원까지 추산하면 6천여명으로 보이지만, 이들은 공단에서 ‘강사’로 인정하진 않는다.

국내 규정상 장애인식개선교육 강사가 장애인이어야 한다는 내용은 없어서, 전체 강사 중 80%가량이 비장애인 강사로 구성돼 있다.

이로 인해 장애인식개선교육을 받는 공공기관·기업·학교 입장에서도, 교육을 제공하는 장애인 관련 기관·단체 입장에서도 강사의 역량이나 질, 자격기준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불만이 오랜 시간 일어왔다.

법정의무교육이기 때문에 집합교육 또는 원격교육 등으로 이수는 하고 있지만 ‘대충 시간만 보내면 되는’ 수업처럼 여겨졌던 셈이다.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는 ‘장애인 만큼 장애인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있을까’ 연구하는 측면으로 이번 과제를 시작했다.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지자체 등과 제도적으로 논의할 부분이 있을지 고민해보겠다는 구상이다.

이 연구과제에는 ▲장애당사자 강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외·내적 효과성 ▲장애인 강사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 ▲현재 장애인식개선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만약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추후 경기도형 장애인식개선교육 모델을 새로 시도할 길이 마련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를 수행 중인 전지혜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본 연구에서 장애인식개선강사라는 영역이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 적합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장애인식개선센터를 정식 운영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해 장애인 강사가 한층 양성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 교수는 “이달 말까지 최종 결과를 낸 후 지자체 등과 장애인 일자리 확충을 위한 여러 방안 등을 논의해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 관계자는 "최종보고서가 나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공감문화, 지식, 환경을 만들기 위한 지원책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18년 경기도 안에서는 ‘장애강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 효과성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당시 연구결과에는 장애강사의 긍정적 효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됐다며 적절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담겼다. 또 장애강사의 양적 확대와 역량 강화를 위한 지자체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이 연구 이후 별다른 움직임은 일어나지 않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