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업계, 실적 악화 속 시니어 분야 진출
구인구직 사이트 이용 50세 이상 비중 7%...전망은 '글쎄'
상조산업 진출한 교육업계...10조 규모 성장에 '웃상'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교육·인적자원(HR) 업계가 인구 고령화에 맞춰 중장년층 공략에 나서고 있지만, 분위기는 극명하게 갈린다. 교육업계가 주로 진출한 상조사업과 달리 HR 서비스에 대한 시니어 계층의 수요가 없어서다.

◆ HR업계 줄줄이 실적 악화...시니어 사업에 '사활'
8일 HR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크루트 이용자 중 50세 이상의 비중은 7%에 불과했다. 이는 주요 이용층인 ▲20~29세(47%) ▲30~39세(29%) 등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40~49세 이용자 비중도 13%로 낮은 축에 속했다. 지난 6일 기준 잡코리아의 연령대별 비중을 봐도 50대(10%), 60대(3%) 수치는 미미했다.
이렇듯 수요 부족에도 불구하고 HR업계에서는 잇달아 5060세대 중장년층을 위한 일자리 매칭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잡코리아의 자회사 알바몬에서는 '장년알바 채용관'을 운영 중이다. 장년 특화 재취업관에는 요양보호사·간호조무사, 바리스타, 경비원, 내선 전기공 등의 직원 채용 공고 정보를 세분화해서 제공한다.
사람인도 이달 중순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사람인 관계자는 "시니어 특화 역량검사를 통해 자신의 특성과 부합하는 일자리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실적 부진에 허덕이는 HR업계가 시니어 분야에 사활을 거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HR 업계는 경제 불황에 따른 채용 시장 한파로 실적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사람인은 지난 2022년(1489억원)을 시작으로, 2023년(1315억원)·2024년(1284억원) 등 3년 연속 매출액이 줄었다.
지난 1분기에도 280억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308억원) 대비 9.09%(28억원) 감소한 수치다. 인크루트도 지난 2023년 14억90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적자 위기에 처했다.
이런 상황에서 구인·구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장년이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HR업계가 신사업으로 시니어 분야를 택한 것이다. 사람인에 의하면 전년 대비 올해 사람인을 통해 입사 지원한 50·60대 증가율은 각각 24.8%와 35.1%였다. 이는 특히 60대 입사지원수 증가율은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다만 사업의 전망에 대해서 회의적인 반응이 많다. 중장년층에게 익숙한 서비스가 아니어서, 장기적 성장이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중장년층 이용자가 늘어난다는 것도 과거 수치가 적은 탓이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고 보긴 어렵다"며 "고객층이 당장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사람인 관계자는 "당장 시니어 대상 서비스가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할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며 "50·60대 고객이 증가 추세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설명했다.
◆ 교육업계 "상조산업 선수금 10조...시장 규모 중요"
반면 상조산업은 교육업계의 '알짜배기'로 부상했다.
올해 3월 기준 상조산업의 전체 선수금 규모는 10조3348억원이었다. 이는 전년(9조4486억원) 대비 9.3%(8862억원) 늘어난 수치다. 특히 ▲2021년(6조6649억원) ▲2022년(7조4761억원) ▲2023년(8조3890억원 ▲2024년(9조4486억원) 등 꾸준한 상승세를 보인다.

회사별로 봐도 프리드라이프의 선수금 규모는 2조6221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 늘었다. 동기간 교원라이프의 선수금은 12.4% 급증했다.
교원라이프는 지난 2018년 교원이 설립했으며, 웅진프리드라이프는 지난 6월 웅진이 인수한 회사다. 교원라이프와 웅진 모두 교육 전문 기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교육업계에서는 이미 상조산업은 중장년 내 탄탄한 고객층을 갖췄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상조산업은 이전부터 중장년 계층에게 익숙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며 "시장 규모가 뒷받침되는 상황에서 고령화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견실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한 상조업계 관계자도 "상조산업은 생애주기상 중장년에게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라며 "고령화 현상 속 시장 규모는 꾸준히 커질 것으로 예측한다"고 설명했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