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美)의 상징, 메이크업과 코스메틱으로 점철된 한국사

2024-10-01

한국은 그리스나 로마와 비슷하게 백옥같은 하얀 얼굴을 고귀함의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에, 고대 삼국시대부터 남성이나 여성 가릴 것 없이 피부를 하얗게 가꾸기 위해 노력했다. 곡물을 찧어 가루로 만들고 이를 녹여 얼굴에 바르는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나 삼국시대 이전, 고조선 시대부터 이런 화장품을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신라시대에는 쌀을 찧어서 만든 가루를 소금물과 녹여 그 진물을 여성들이 얼굴에 발랐는데, 여기에서 얻은 소금물이 바다의 염전을 통해 얻어온터라 바닷가 비린내가 나는 것이 흠이었다. 한편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는 양 뺨에 원형으로 볼 연지를 그린 여성들을 찾아볼 수 있으며 백제는 피부 화장을 희고 연하게 하는것이 유행이었다. 한편 신라는 그보다 화려하고 색감있는 화장이 유행이었고 남자들도 적극적으로 화장을 했는데 이는 화랑들이 전쟁에 나가기 전, 비장한 마음으로 분칠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고려시대에는 삼국시대나 후기 신라 때까지 누구나 화장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처음으로 신분에 따라 하는 화장법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달라지게 되는데, 짙은 화장은 기녀들이 즐겨했고 귀부인들은 최대한 자연스럽고 연한 화장을 했다. 이러한 신분에 따른 화장법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더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기생들은 화려히고 아름답게 꾸미기 위하여 색조화장을 했고 사대부 여인들은 되도록 이목구비를 바꾸지 않는 정갈한 화장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화장법들에 대해 왕이 나서 직접 언급한 사례가 있는데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은 <조선왕조실록-연산군일기>에서 “어찌 분칠한 것을 참 자색이라 할 수 있겠느냐? 옛 성현들의 시에 ‘분연지로 낯빛을 더럽힐까 봐 화장을 지우고서 임금을 뵙네’ 라 하였으니 앞으로 간택할 때는 분칠을 못하게 명하여 그 진위를 가리게 하라”라고 하였다. 임금 앞에서는 화장을 하지 못하게 하여 쌩얼로 미모를 가리게 하라는 뜻이다.

이러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화장품은 미안법(美顔法)이라 하여 현대의 팩 같은 것을 이용했고, 미안수(美顔水)라 하여 꿀 찌꺼기를 바르거나, 식물 자체를 팩처럼 이용했다. 가난한 민간인들은 오이꼭지를 갈아서 삶은 뒤, 식혀서 바르는 등 나름의 팩 비슷한 것을 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백분을 비누칠 하듯 바르며 세수인 분세수(粉洗手)와 미묵(美墨)은 양반 남성들이 이용했고, 승지들은 향낭(香囊)을 패용하고 다니는것이 필수였다. 향낭은 여인들이 노리개로 사용하기도 하고 따로 차기도 하였으며 주머니 속에 향을 썰어 넣거나 약간 크게 잘라 넣거나 분말을 싸서 넣었다. 조선 시대 지배층 남녀는 기생과 궁녀 등 직업 여성들의 분대 화장을 기피하여 엷은 담장(淡粧)을 주로 했다. 담장은 피부를 손질하는 것을 위주로 담백하게 멋을 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의식을 위한 차림새는 달랐는데, 무척 화려하게 치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많은 양의 화장품이 있었는데, 보통 직접 만들어 사용하거나 매분구라는 화장품 상인이 1차 가공한 화장품을 유통하면 구매자가 기름이나 물 등에 개어 사용하곤 하였다. 미안수(美顔水)의 경우, 오늘날의 토너 역할을 한 제품으로 주로 수세미나 오이 등 박과 종류의 열매의 즙을 내어 사용했다. 박하 등 향이 나는 식물의 즙을 첨가해 향을 더하기도 했다. 면약(面藥)은 로션이나 팩과 같은 역할을 했다. 주로 달걀과 술, 꿀, 밀랍, 참기름 등의 유지류를 이용했으며 또한 반죽을 이용해 마스크팩 비슷한 용도로 얼굴에 보습감과 유수분을 공급하는 면지(面紙)를 했다고 한다. 비누도 조선 시대 여인들의 화장품으로 사용했는데 팥에 들어있는 사포닌 성분을 이용해 거품을 내어 씻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분세수가 있는데, 고운 쌀가루를 미온수에 풀어서 세안한 뒤 깨끗한 물로 다시 세안하는 방법이다.

분은 보통 쌀가루나 분씨 가루를 내어 사용했으며, 조개껍데기의 가루나 진주가루 등을 넣어 광채와 백색도를 더하기도 하였다. 여기에 색가루를 더하면 색분이 되는데, 송화가루나 황토를 더한 황색분은 양반이나 사대부 여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주사 등의 붉은 색분을 넣어 분홍빛을 내는 색분은 기생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이 색분을 기름에 개어 발라 오늘날의 파운데이션처럼 사용히기도 하였다. 미묵(美墨)은 숯을 가루내어 기름이나 달걀 노른자에 개어 눈썹에 칠하는 용품으로 오늘날의 아이라인의 역할을 하는 도구라 볼 수 있겠다. 입술연지는 석류나 홍화꽃 분말, 주사광물 등 붉은 빛을 내는 재료에 기름과 노른자를 첨가했고 여기에 발림성을 더해 입술에 보습과 혈색, 색감을 더해 주었다. 이러한 조선 시대 화장품을 통칭하여 연지분, 혹은 지분이라 부르고, 현대의 아이라인은 눈썹먹, 한자로 미묵(美墨)이라하여 남녀 모두 사용하기도 했다.

연지는 홍화나 주사로 만들었고, 지분은 백분, 색분 등 다양한 색이 있었는데, 이를 자신의 피부색에 맞게 섞어서 사용했다. 기생이 백분을 사용하다보니, 이를 피하겠다고 양반 집안에서는 복숭아빛 분을 사용했다. 달걀 노른자로 만드는 면약도 사용했는데, 이는 현대의 영양크림에 해당하는 화장품이다. 꽃이나 향기 나는 물칠을 압착한 제품인 향료와, 향이 나는 물질을 압착하거나 향기 짙은 꽃잎을 기름에 잰 화정유(花精油), 향이 나는 동식물 등을 기름에 용해한 향유(香油)나 향나무나 편백나무 등을 가루내어 메이크업에 이용했다. 이후 조선 말기 시대의 명성황후는 러시아제 화장품을 즐겨 사용했다 한다. 1916년 한국 최초의 서양 화장품 브랜드라고 할 수 있는 박가분(朴家粉)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회사는 두산그룹의 창업주 박승직이 경영하는 '박승직 상점'이라는 포목점이었으며, 제작한 사람은 박승직의 아내였다. 어느 날 박승직의 아내는 한 노파가 백분을 팔고 있는 것을 보고 부업으로 백분을 만들어서 팔면 장사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녀는 남편과 상의 끝에 십여 명의 여성들을 모아 백분을 제조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박가분의 시초가 된다. 처음에는 박승직이 운영하는 포목점의 단골들에게 사은품 형식으로 주던 것을 시작으로 박가분은 여성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당시 <동아일보>에 실린 한 여성의 사용 후기에 읳하면 "물이나 기름에 잘 녹아 피부에도 잘 발리고 미백 효과도 뛰어나다"는 내용이 있었을 정도였다. 이러한 박가분이 인기를 얻게 되자 전국 각지에서 방물장수들이 박승직의 집으로 모여들었고, 하루에 1만 갑이 넘게 팔릴 정도로 당시 최고의 히트 상품이었다. 특히 직업상 화장을 해야 하는 일이 많았던 기생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좋았다. 박가분이 인기를 모았던 것은 박가분의 화장 효과나 저렴한 가격이기도 했지만, 포장 방식이 독특했다. 일반적인 백분들과는 달리 박가분은 두께가 매우 두꺼웠고, 작은 갑에 포장된 형태로 판매되었다. 

종래의 백분은 두께가 약 3mm 정도 되는 것을 백지로 싸서 팔았으나, 박가분의 경우는 두께가 8mm였다. 또한 인쇄 라벨을 붙여 상품 가치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이는 매우 고급진 화장품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납 성분으로 인해  여성들 사이에서 피부가 푸르게 괴사하고 정신이 혼미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박가분을 자주 사용했던 기생들 중에서는 정신 이상을 일으키는 사례도 속출했다고 한다. 이런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박가분은 순식간에 '살을 파먹는 가루'라는 소문이 퍼지게 되었고, 결국 1937년 박가화장품이 자진 폐업함과 동시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후 한국전쟁 이후 한국 메이크업 트렌드의 대세는 단연 서양 미녀들을 기준으로 한 메이크업이었다. TV가 점차 보급되면서, 메이크업 트렌드를 여배우나 여가수들이 주도하기 시작했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ymbol of Beauty, Korean History Filled with Makeup and Cosmetics

- Columnist Jeong Gil-seon

Korea, like Greece and Rome, considered a white face like white jade a symbol of nobility, so since the ancient Three Kingdoms period, both men and women have tried to make their skin white. Grinding grains into powder, melting it, and applying it to the face has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in both the East and the West, but it is believed that this type of cosmetic was used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or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during the Gojoseon period. During the Silla period, women would grind rice into powder, dissolve it in salt water, and apply the resulting liquid to their faces. However, since the salt water obtained from this was obtained from salt farms in the sea, it had a fishy smell that was a shame. Meanwhile, in Goguryeo tomb murals, you can see women with circles of blush on both cheeks, and in Baekje, it was fashionable to apply light and light skin makeup. On the other hand, Silla had more colorful and extravagant makeup in vogue, and men also actively wore makeup.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Hwarang who wore makeup with a sense of solemnity before going to war.

In the Goryeo Dynasty, anyone could wear makeup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or the later Silla Period, but this changed for the first time when makeup methods were created based on social status. Gisaengs enjoyed heavy makeup, while noblewomen wore makeup that was as natural and light as possible. These makeup methods based on social status became even more promin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known that gisaengs wore colorful makeup to look extravagant and beautiful, while noblewomen wore neat makeup that did not change their facial features as much as possible. In particular, there were cases where the king directly mentioned these makeup method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eonsangun, the 10th king of Joseon, sai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 can makeup be called true purple? In the poems of the ancient sages, it is said, “I wipe off my makeup to see the king, fearing that my complexion will be stained by the smoke.” So in the future, when selecting people, order them not to wear makeup so that their true colors can be seen.” This means that they should not wear makeup in front of the king, so that they can hide their beauty with a bare face.

The representative cosmetics of the Joseon Dynasty were called Mianbeop (美顔法), which used something like a modern pack, and Miansu (美顔水), which applied honey residue or used the plant itself as a pack. It appears that poor commoners made their own packs by grating cucumber stems, boiling them, cooling them, and applying them. The yangban men used the face wash called Bunsesu (粉洗手) and Mimuk (美墨), which were applied like soap, and the royal secretaries were required to carry a scented pouch (香囊). The incense pouch was used as a norigae by women and was worn separately. The incense was cut into small pieces, cut into slightly larger pieces, or powdered and placed in the pouch.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ruling class men and women avoided the makeup of professional women such as gisaeng and court ladies, and mainly wore light makeup. Damjang refers to simple and stylish makeup that focuses on skin care. However, the attire for ceremonies was different, and it seems that they were very extravagantly decorated.

There were a lot of cosmetics during the Joseon Dynasty. Usually, they were made and used directly, or cosmetics merchants called maebungu distributed cosmetics that were processed in the first stage, and the buyers mixed them with oil or water to use. In the case of Miansu (美顔水), it was a product that served as a toner today, and was mainly made by extracting the juice of fruits of the gourd family such as sedum or cucumber. The juice of fragrant plants such as mint was also added to enhance the fragrance. Myeonyak (面藥) served as a lotion or pack. It is said that they mainly used fats such as eggs, alcohol, honey, beeswax, and sesame oil, and also used dough to make cotton paper (面紙) that moisturized and supplied moisture to the face like a mask pack. Soap was also used as a cosmetic by women in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said that they used the saponin component in red beans to make bubbles and wash their faces. In addition, there is a powdered cleanser, which is a method of dissolving fine rice powder in lukewarm water, washing the face, and then washing the face again with clean water. Powdered cleanser was usually made from rice powder or powdered seeds, and powdered shells or pearl powder was added to add shine and whiteness. If colored powder is added to this, it becomes colored powder. Yellow powder made from pine pollen or yellow clay was mainly used by noblemen and women of the nobility, and colored powder made from red powder such as cinnamon was mainly used by gisaengs to give it a pinkish color. This colored powder was also mixed with oil and applied to use like today's foundation. Mimuk (美墨) is a tool that is used to apply charcoal powder to the eyebrows mixed with oil or egg yolk. It can be seen as a tool that plays the role of today's eyeliner. Lip rouge is a red-colored material such as pomegranate, safflower powder, and cinnamon, and oil and yolk are added to it, and it adds spreadability to moisturize, color, and color to the lips. These cosmetic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collectively called yeonjibun or jibun, and modern eyeliner is called brow ink, minguk (美墨) in Chinese characters, and it was used by both men and women.

Yeonji was made from safflower or cinnamon, and jibun came in various colors such as white powder and colored powder, and they were mixed to match their skin color. Since gisaengs used white powder, noble families used peach-colored powder to avoid it. They also used cotton swabs made from egg yolk, which is a cosmetic equivalent to a modern-day nutritional cream. Fragrance, a product made by pressing flowers or fragrant water, fragrant substances pressed or fragrant flower petals soaked in oil, fragrance oil, or fragrant plants and animals dissolved in oil, or powdered sandalwood or cypress were used for makeup. After that, Empress Myeongseo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said to have enjoyed using Russian cosmetics. In 1916, Parkgabu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irst Western cosmetics brand in Korea,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e company was a lumber store called 'Park Seung-jik Store' managed by Park Seung-jik, the founder of Doosan Group, and the person who made it was Park Seung-jik's wife. One day, Park Seung-jik's wife saw an old woman selling white powder and thought that it would be a good business to make white powder as a side job.

So after discussing it with her husband, she gathered about ten women and started making white powder, which became the beginning of Parkgabun. At first, Park Ga-bun was given as a gift to regular customers of the lumber shop run by Park Seung-jik, and it became extremely popular among women. At that time, a woman's review in the Dong-A Ilbo included the following: "It dissolves well in water or oil, and it goes well with the skin, and it has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As Park Ga-bun gained popularity, street vendors from all over the country flocked to Park Seung-jik's house, and it was the best hit product at the time, selling over 10,000 cases a day. It was especially popular among gisaengs who often had to wear makeup due to their jobs. Park Ga-bun gained popularity not only because of its makeup effect and low price, but also because of its unique packaging method. Unlike regular white powders, Park Ga-bun was very thick and sold in small cases.

Conventional white powders were sold wrapped in white paper and were about 3mm thick, but Park Ga-bun was 8mm thick. Also, because it adopted the method of attaching printed label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it was considered a very high-end cosmetic. However, due to the lead component, side effects such as skin turning blue and mental confusion began to appear among women, and it is said that there were many cases of mental disorders among the gisaengs who frequently used Bakgabun. Due to this series of incidents, Bakgabun quickly became known as a ‘flesh-eating powder’, and eventually, in 1937, Bakga Cosmetics voluntarily closed down and production was discontinued. After the Korean War, the trend in Korean makeup was definitely makeup based on Western beauties. As TV gradually became popular, actresses and singers began to lead the makeup trend.

lukybaby7@gmail.com

*Author/ Jeong Gil-seon.

Novatopos member, historian, paleoanthropologist, columnist, research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Eurasian Paleoanthrop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