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와 여행 결합한 ‘런 트립’, 경험 중심 소비 확산 속 인기
군산·장수 등 전북서도 러너 위한 여행 프로그램 잇따라
“취향 반영한 여행 문화로 자리 잡아”… 지역관광 새 가능성
유행은 돌고 돈다. 빨라도 너무 빨리 돈다. 괜히 아는 척한다고 "요즘 유행인데 몰랐어?" 이야기했다가 유행이 끝나 창피당하는 일도 다반사다. 트렌드에 민감한 기자들, 트민기가 떴으니 이제 걱정 없다.
이 기사를 읽는 순간에도 SNS,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많은 유행이 올라오고 트렌드가 진화한다. 트민기는 빠르게 흐름을 포착해 독자에게 전달하는 게 목표다.

“요즘 여행 가면 꼭 뛰어요. 숙소 주변 달리기 코스부터 검색하죠.”
직장인 김세진(31) 씨는 최근 제주도로 ‘런 트립’(Run Trip)을 다녀왔다.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달리기 자체가 여행의 목적이었다. 그는 “둘레길이 잘 조성돼 있어 뛰기 편했다. 달리는 동안 머리도 식고, 자연을 두 눈으로 담다 보니 사진보다 기억이 오래 남는다”고 말했다.
달리기와 여행을 결합한 런 트립이 새로운 여행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한 운동을 넘어 경험 소비의 일환으로 여겨지면서 관련 여행 상품도 속속 등장하는 추세다.
특히 해외 마라톤 대회 일정을 맞춘 상품이 인기를 끈다.
하나투어는 올해 초 오사카 마라톤 대회 참가권을 포함한 여행 상품을 선보였다. 이후 사이판·베트남 다낭 등지로 확대했다.
실제 육상 선수가 여행에 함께하고 패키지여행과 자유 여행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러너들의 눈길을 끌었다.
전북에서도 관련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있다.
군산에는 러닝 전문 기업 ‘런콥’이 진행하는 군산 런트립이 있다. 지난 2023년에 첫선을 보이고 2년째 진행 중이다. 지난해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결과 회차당 무려 60여 명이 참여했다.
또 장수에는 트레일레이스(산악 마라톤)가 열리고 있다. 귀촌 청년이 직접 코스를 개발해 6회차를 맞이했다. 약 173km에 달하는 코스는 장수의 자연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어 해마다 참가자가 늘고 있다.
런 트립의 열풍은 경험 중심 소비가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관광데이터랩은 "개인의 취향이 다양해지며 관심 있는 분야나 취미 활동을 깊게 파고드는 디깅 문화가 유행하는 중이다. 취향 및 경험 중시 경향이 강해지고 가치 소비가 증가하며 취미 여행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전주 러닝 모임에 참여 중인 정모 씨도 "러너에게 달리기는 일상이다. 어차피 매일 뛰어야 하는데, 여행을 갔을 때 뛰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며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도 다양한 런 트립 상품이 생기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