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정부 데이터와 서비스 전반을 연계한 국민 중심 통합형 서비스 '디지털융합플랫폼' 가동이 본격화됐다.
정부부처 간 데이터와 서비스가 각각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기존 구조에서 디지털 자원 중복, 제한적 연계, 이에 따른 국민 중심 통합형 서비스 제공 한계를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다.
디지털융합플랫폼은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데이터, 서비스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인증 등을 한 플랫폼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누구나 손쉽게 혁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정부는 대국민 인공지능(AI) 활용 서비스를 자유롭게 개발·시험·검증 할 수 있도록 기반 환경 'AI 통합테스트베드'도 지원하고 있다.
◇공공·민간 디지털 자원 공유 원활
디지털융합플랫폼은 민간 클라우드 기반 공공·민간의 경계를 넘어 디지털 자원 공유와 활용, 아키텍처 혁신을 이끄는 핵심 플랫폼으로 기획·구축됐다.
민간과 공공의 다양한 데이터와 서비스 등을 연결하고 디지털 자원을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 데이터 축적·분석·학습, 서비스 융합·개발·시험을 통한 혁신 서비스 창출까지 디지털 자원의 전주기 생태계를 지원한다.
KT클라우드와 네이버클라우드 등 멀티 클라우드로 인프라를 구성해 끊김없는 서비스를 보장한다. 트래픽이 급증하더라도 부하를 적절히 분산, 안정적인 시스템 기반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장애 발생 시에도 신속하게 조치·대응해 특정 서비스 중단이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했다.
페르소나 챗봇도 제공한다. 단순 키워드 기반 검색뿐만 아니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사용자 질문 의도를 분석하고 사용 행태 등을 고려한 개인화 서비스다. 디지털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디지털 자원 추천, 개발가이드와 코드샘플 등 서비스 개발 전반에 걸친 지원을 담당한다.
또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민간·공공 디지털 자원을 디지털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계·수집, 디지털 자원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현재 공공데이터포털, 원윈도우, 기업마당 등 공공부문 9개와 비씨카드, 하이픈 등 민간부문 5개 플랫폼과 연계되고 있으며 향후 20여개 디지털플랫폼이 추가될 예정이다.
수집된 디지털 자원은 디지털자원저장소에서 디지털 자원 카탈로그로 분류해 등록·저장할 수 있다. 카탈로그 표준화 등 자원 등록·저장·검색 단계별 표준관리체계를 수립, 사용자가 등록된 디지털 자원을 편리하게 검색·활용하도록 지원한다.
데이터와 서비스를 한 곳에 모아 다양한 분석인프라와 개발도구를 지원하는 디지털융합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도 기대된다. 공공·민간 데이터를 연계해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시 원스톱 신고·조치로 추가 피해를 예방하는 '보이스피싱 원스톱 대응', AI 다차원 분석과 전세사기 위험요인 사전 진단 등 전세사기 위험도를 사전에 확인하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가 성과사례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민관협력형(PPP)존 정부 업무망으로 디지털융합플랫폼을 확대 적용한다. 공공·민간 간 안전하고 원활한 데이터 흐름, AI와 민간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활용을 위해 정부 업무망 영역에 새로운 보안 정책을 적용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주요 공공 플랫폼과 연계 차원이다.
◇민간에 AI 개발환경·인프라 지원
AI 통합테스트베드는 AI 개발환경이 취약한 중소·벤처기업·스타트업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누구나 AI 활용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 클라우드 서버,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과 로우코드·데이터 시각화·검색증강생성(RAG) 엔진 등 소프트웨어(SW) 개발도구를 제공한다. 디지털 자원 활용이 어려운 경우 기술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네이버클라우드, NHN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 민간 클라우드와 GPU 자원, AI 모델 생성·학습 도구, 데이터 분석 도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민간에서 필요한 디지털 자원과 개발지원 도구를 기획·개발·시험·검증 등 서비스 개발 전주기에 걸쳐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컨설팅, 개발·시험·검증, 교육·코칭 등 기술 지원도 병행한다.
올해는 이용자 편의를 위해 SSO(통합 로그인 방식) 연동, 클라우드 지원 승인절차 등 사용자 환경을 보완하고 클라우드·GPU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배정 방식을 개선했다.
또 대기업에 비해 정보통신기술(ICT) 개발환경이 열악한 중소·벤처기업을 위해 민간기업에서 주로 활용되는 오픈소스 기반 개발지원 도구(RAGFlow, Apache Superset, Appsmith 등) 도입을 확대했다. 미개방 성격 데이터로 활용이 불가했던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게 데이터 안심구역 운영도 추진하고 있다.
사용자와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 서비스 개발, AI·머신러닝(ML)·LLM·제로트러스트 등 다양한 신기술 도입 컨설팅, 교육·코칭 등 기술 지원 깊이를 더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서울·경기·경남·경북·전라권 등 5대 권역 대상 이론과 실습을 겸한 애자일 전문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내년에는 국민의 주요 서비스 접근성과 사용성 강화를 위해 플랫폼 메뉴, 이용신청, 검색 기능 등을 개선한다. 특히 디지털융합플랫폼과 기능을 통합·연계해 국민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플랫폼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공동기획:전자신문·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단독]기재부, 분야별 AI 선도기관 지정한다…공공기관 AI 모범사례 모은다[Pick코노미]](https://newsimg.sedaily.com/2025/11/26/2H0LQ0BNCR_1.jpg)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박소아 오케스트로 CDO, “클라우드 네이티브·가상화 기반 DR 전략 주목받을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25803462fcd64ad5aeee3487c8bd2f08_P1.jpg)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티맥스티베로, “운영 환경 따라 선택 가능한 '액티브 DR' 지원”](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6/news-p.v1.20251126.e2d7836687434218a7f2b118173b7a68_P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