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동물검진센터 앞 '1인 시위'…서울 수의사들 뿔난 까닭

2025-11-01

‘10월 27일 임모 원장님, 28일 김모 원장님, 29일 임모 원장님….’

서울시수의사회가 SNS에 공지한 ‘SNU반려동물검진센터’(이하 SNU센터) 앞 1인 시위 일정이다. 서울시수의사회는 지난 6월 16일 SNU센터가 서울 광진구에 문을 열자 “센터 철폐”를 요구하며 이처럼 매주 릴레이 시위를 이어왔다. 수의사들은 SNU센터의 설립 자격을 문제 삼으며 동네병원 상권 침해를 우려하고 있다.

1일 서울시수의사회와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의원실 등에 따르면 SNU센터는 반려동물의 진료 빅데이터 확보와 연구 등을 목적으로, 서울대 법인이 만든 SNU홀딩스와 그 자회사인 S사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만들었다. 지원 규모는 50억원으로 알려져 있다. 비영리법인 형태로 운영되나 사실상 영리법인(S사)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구조다. 현행 수의사법은 영리법인의 동물병원 개설 자격을 제한하고 있다. 현재 동물병원은 수의사, 지방자치단체, 수의대, 비영리법인이 세울 수 있다.

이에 대해 SNU센터 측은 센터 운영으로 발생한 이익은 S사로 흘러가지 않고 연구 등에 재투자되는 만큼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수의사들은 “현행법상 설립에 문제가 없다고 해도 영리법인이 우회로를 통해 동물병원을 만든 건 사실”이라며 “반려동물 병원사업에 진출하려 하는 기업들에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서울시수의사회는 ‘골목상권 침해’를 우려한다. SNU센터가 사람의 건강검진센터처럼 치료가 아닌 검진 영역에 집중한다고는 하나 1·2차 동네 동물병원 역시 검진 서비스를 제공 중이라서다. 중소 병원 입장에서는 검진도 치료 못지않게 핵심 수익이라고 한다.

결국 두 기관의 갈등은 국정감사장으로까지 번졌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준혁 의원은 지난 10월 28일 열린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SNU센터 패키지 검진 비용은 강아지가 97만~270만원, 고양이는 200만원”이라며 “외부의 자본을 투자받은 SNU센터가 영리가 목적이 아니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그는 “강아지, 고양이 검진을 통해 얻은 정보를 치료제 개발 등 연구 목적으로 활용한다고 하나 서울 지역 전체에 (센터) 분원을 만들겠다는 것 아니겠냐. (그런 계획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센터) 분원이나 가격 패키지까지는 다 파악하고 있지 못했다”고 짧게 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서울대는 국립대로 교육부의 예산이 상당수 들어간다”며 “이런 서울대가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를 활성화해야지 영리목적으로 인식되고 수많은 동물병원에 타격을 주는 건 올바르지 않다. 수의대와 (이 문제에 대해) 깊은 논의를 해달라”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