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E 기능 갖춘 스위치 허브로 이중 케이블 족쇄 벗어나기

2025-05-07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 LAN 케이블 통해 전력 공급 가능

일반 LAN 케이블로도 데이터 이외에 추가 전력 공급 가능

얼마나 많은 전력을 공급하고 포트를 갖췄는지 확인

[디지털포스트(PC사랑)=임병선 기자] 과거 네트워크 환경은 항상 ‘이중 케이블’ 족쇄에 묶여 있었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기라면 데이터는 이더넷 케이블로, 전원은 별도 전원 케이블로 두 개의 케이블을 모두 연결해야만 했다. 이는 기기 설치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유지관리 비용까지 증가시키는 요인이기도 했다.

하지만 IEEE 802.3af 규격의 등장 이후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은 RJ-45 이더넷 케이블 하나로 데이터와 함께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됐기 때문에 설치를 간호화하고 유지관리 비용까지 획기적으로 낮췄다.

이렇듯 현재 PoE 기술은 단순하게 편의성을 넘어, 스마트 빌딩·스마트시티·IoT 산업의 핵심 인프라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당연히 중소기업이나 병원, 카페 등에서도 PoE를 사용해 네트워크 환경을 간소화할 수 있다. PoE는 어떤 기술이고 어떤 제품을 사용하면 좋을지 추천해 본다.

PoE란 무엇인가?

PoE를 간단히 정의하자면 이더넷 케이블로 네트워크 장치에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원도 공급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각각의 단말들이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PoE의 구조는 놀랍도록 단순하면서도 강력하다. ‘PSE(Power Sourcing Equipment)’로 불리는 PoE 스위치나 인젝터가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PD(Powered Device)’에 전력을 전달한는 방식이다. IEEE 표준에 따라 전력을 데이터와 함께 전달하는 ‘모드 A’, 여분의 페어를 사용하는 ‘모드 B’, 또는 4페어를 모두 활용하는 ‘802.3bt’ 방식이 적용된다.

현재 포트당 최대 90W 전력까지 공급할 수 있는 ‘IEEE 802.3bt Type 4(PoE++)’ 규격까지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일반 사무실이나 카페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 PoE 장비로는 인터넷 전화나 IP 카메라, 무선 AP 정도이기 때문에 포트당 최대 30W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PoE+ 규격을 갖춘 스위치 허브로도 충분하다. 만약 30W보다 더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한다면 PoE++ 규격을 갖춘 스위치 허브를 골라야 한다.

PoE 기능 사용하려면?

PoE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PoE 방식을 지원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는 PoE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 PoE가 아닌 스위치와 함께 사용하는 PoE 인젝터 등이 있다. 또한, VolP나 IP 카메라, 무선AP 등 네트워크 기기도 PoE를 지원해야 한다. PoE를 이용하면 LAN 케이블을 PoE 지원 포트에 꽂아 데이터와 전력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설치도 쉽고 관리도 편하다.

PoE는 일반 LAN 케이블로도 데이터 이외에 추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과 데이터 전송에 LAN 케이블 하나만 있어도 되는 것이다. 그래서 네트워크 장비와 인터넷 전화 등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구매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공사 비용도 들지 않아 저렴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천장 등에도 무선 AP나 IP 카메라 등을 장착하기가 한결 수월해 편리하다. 복잡한 장비실이나 배선실에 필요한 케이블과 전기 콘센트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관리도 쉽다. 더구나 설치한 전원 케이블이 적은 만큼 합선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확률도 줄어든다.

PoE 스위치 구매 포인트

PoE는 한 포트에 최대 15.4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위 버전인 PoE+나 PoE++를 지원하면 한 포트에 최대 30W나 그 이상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스위치 허브에 여러 대 PoE 단말들이 연결될수록 단일 포트에 공급하는 전력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PoE 스위치 허브가 총 얼마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 확인할 부분은 얼마나 많은 포트가 있는지다. 당연히 포트가 많을수록 PoE를 사용할 수 있는 기기도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PoE 스위치 중에는 일부 포트만 PoE를 쓸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PoE를 지원하는 포트가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추천 PoE 스위치 허브

강력한 Ultra 60 PoE++ 지원

넷기어 MS108TUP

넷기어 MS108TUP는 모든 포트에서 2.5Gbps 속도를 제공하는 스위치 허브다. 여기에 포트당 최대 60W 전원을 제공하는 PoE++ 기능까지 갖춰 고전력을 요구하는 PoE 장치도 문제없이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연결한 장치의 PoE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PoE 자동 밸런스 기능까지 제공해 편리하다.

1~4번 포트는 최대 60W를 제공하는 PoE++ 기능을 지원하며, 5~8번 포트는 최대 30W를 제공하는 PoE+ 기능을 지원한다. 동시에 제공되는 전력이 최대 230W이기 때문에 많은 PoE 장비를 연결해도 거뜬하다. 모든 포트는 최대 2.5Gbps 속도를 지원하며, 이더넷 케이블을 업그레이드할 필요 없이 Cat5e 이더넷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16포트 SOHO 사무실 적합

넷기어 GS316EP/GS316EPP

넷기어 GS316EP와 GS316EPP는 10인 이상 직원이 근무하는 중소규모 사무실에 적합한 스위칭 허브다. 1개의 SFP 기가비트 포트와 15개의 10/100/1000Mbps를 지원하는 기가비트 포트를 내장했으며, 15개의 포트에서 PoE+ 기능을 지원해 포트당 30W의 PoE 전력을 제한다. GS316EP와 GS316EPP는 똑같이 생겼지만, GS316EP는 최대 180W, GS308EPP는 최대 231W의 전력을 제공하는 점이 다르다.

견고하고 내구성 뛰어난 메탈 케이스를 적용했으며, 월마운트 및 데스크톱 장착 옵션을 갖췄다. 스위치와 단말장치 간 최대 속도 자동 연결을 위한 Auto-negotiation으로, 16개의 고속 자동 인식 기가비트 이더넷 커넥션을 제공한다. 또한, 유선 속도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위한 Non-blocking 스위킹 아키텍처로 최대 용량의 파일을 고속으로 전송한다.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