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오션은 ‘2025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2025)’에서 경쟁사와 차별화를 겨냥해 한화그룹 관계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등 방산 3사가 처음으로 통합 부스 ‘한화관’을 운영해 K-해양방산을 주도하는 선두업체로서 기술력을 과시한다.
MADEX 2025에서는 무인함정 2종과 수상함3종, 잠수함 3종 등 총 8종을 소개한다. 무인함정 부문에선 무인전력지휘통제함과 전투용 무인잠수정(UUV)이 전시된다. 특히 무인 전력 중심의 미래 해군력 건설을 추진하는 해군의 주력 함정이 될 ‘고스트 커맨더’로 불리는 ‘차세대 무인전투지휘통제함’ 형상을 공개하고 대양 해군의 방향을 제시한다.
수상함 부문에선 첨단 한국형 구축함(KDDX), 최신예 울산급 호위함 배치-IV, 태국 수출형 호위함을 선보인다. 경쟁사 보다 기술적 우위에 있는 잠수함 부문에선 해외 시장을 겨냥한 2000톤급, 2800톤급 잠수함을 비롯해 최신예 3600톤급까지 함형별 잠수함 모델이 배치된다.
특히 해군 전력의 핵심이 될 3600톤급 중형 잠수함은 세계 최초로 공기불요추진체계(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동시 탑재해 현존하는 디젤 잠수함 중 최고의 잠항 능력을 자랑한다. 한화오션은 올 하반기 진수식이 계획된 3600톤급 장보고-Ⅲ 배치(Batch)-Ⅱ 중형잠수함의 1번함 축소 실물을 공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형 함정 설계·건조 기술력을 기반으로 업계에서 한화오션이 선도하고 있는 함정 유지보수(MRO) 사업을 소개하고 한국형 함정 MRO 사업이 나아갈 방향도 제시한다.
한화오션은 수상함과 잠수함 등 특수선 분야에서 4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과 실적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해양 방산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수상함 부문에서는 국내 최초의 국산 구축함 KDX-Ⅰ‘광개토대왕함’을 시작으로 스텔스 설계가 적용된 KDX-Ⅱ‘충무공 이순신함’, 세계 최고 수준의 전투체계를 갖춘 이지스함인 KDX-Ⅲ ‘율곡 이이함’까지 KDX-Ⅰ, Ⅱ, Ⅲ 사업을 모두 수행한 바 있다.
특히 KDX-Ⅲ 건조 당시 한화오션이 도입한 ‘블루스카이 로드 아웃 공법’은 세계 이지스 구축함의 롤모델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개념 설계 및 전전기 추진체계, 통합마스트 기술 고도화를 통해 세계 최첨단 전투함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잠수함 부문 위상은 더욱 독보적이다. 한화오션은 장보고-Ⅰ9척, 장보고-Ⅱ3척, 장보고-Ⅲ 배치-Ⅰ2척, 배치-Ⅱ 3척 등 우리 해군이 발주한 24척 중 17척의 잠수함을 직접 건조했다. 특히 3000톤급 장보고-Ⅲ 잠수함 개발을 통해 한국을 세계 8번째로 중형 잠수함을 독자 설계·건조한 국가 반열에 올렸다.
한화의 기술력은 해외에서도 인정 받아 수출 실적으로 쌓였다. 1998년 방글라데시 호위함 수주를 신호탄으로 말레이시아 훈련함, 태국 호위함, 영국 해군 군수지원함, 노르웨이 군수지원함 등 세계 주요 해양 강국에 다양한 선박을 수출했다. 전통적 해양 강국인 영국에 세계 최초로 군수 지원함을 수출한 경험은 노르웨이 군수지원함 수주로 이어지는 기반이 됐다.
잠수함 수출도 2011년 인도네시아에 장보고-Ⅰ급 3척을 공급하면서 국내 방산 역사상 최대 규모 계약(약 11억 달러)을 체결했다. 한국을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에 이어 세계 5번째 잠수함 수출국으로 만든 쾌거였다.
최근에는 한국형 차세대 구축함(KDDX)에 적용된 기술력 강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2012년 개념 설계부터 전기 추진체계, 통합마스트, 첨단함형, 통합네트워크, 스마트 함교, 병력절감 스마트함정 기술 등 첨단 함정에 필요한 기술 연구를 수행했다. 해군이 2031년 전력화할 차세대 구축함에 25㎿급 대용량·고출력 추진 전동기를 탑재하고 함정에 탑재되는 무기 및 추진체계를 포함한 모든 장비의 동력을 전기로 대체하는 기술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초격차 방산 솔루션 확보를 위해 거제사업장에 약 1000억원을 투입한 ‘특수선 제4공장’을 10월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 이라며 “향후 잠수함 5척 및 수상함 3척 동시건조 능력과 잠수함 4척 및 수상함 7척이 동시 계류할 수 있는 안벽도 확보해 생산 역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