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 '렉라자'로 돈 버는 구조 안착…기술이전 성과 이어갈까

2025-08-28

마일스톤·로열티 수익 1000억 돌파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기술이전 기대감 ↑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유한양행의 폐암 신약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원개발사인 오스코텍의 기술료 수익 1000억원을 돌파하며 돈 버는 바이오텍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제2의 렉라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28일 오스코텍에 따르면 올 상반기 유한양행으로부터 렉라자 마일스톤과 로열티 총 106억원을 수령했다. 2015년 렉라자를 기술이전할 당시 수령한 계약금을 포함한 올 상반기 기준 오스코텍의 마일스톤과 로열티 수익 등은 1000억원을 넘는다.

렉라자를 존슨앤드존슨(J&J)에 기술이전한 유한양행은 렉라자 매출의 10% 이상을 로열티로 받으며, 이 중 40%를 오스코텍에 지급한다. 오스코텍은 수령한 로열티의 절반을 렉라자를 함께 발굴한 제노스코에 배분하고 있다.

렉라자는 지난해 8월 J&J의 리브리반트와 함께 병용요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이어 유럽과 일본, 중국 등에서도 잇따라 승인을 받은 상태로 향후 판매에 따라 오스코텍이 받게 될 로열티 수령 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올 2분기 판매가 시작됐으며, 하반기 유럽 출시와 내년 상반기 중국 출시가 점쳐지고 있다.

로열티 유입 효과는 단순 매출 증가를 넘어 오스코텍의 체질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올 2분기 매출은 1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5% 늘었고, 상반기 누적 매출도 361.5% 증가한 120억원을 기록했다. 현금성 자산은 같은 기간 12% 증가해 1154억원으로 늘었다. 연구개발 투자 여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갖췄다는 평가다.

다만,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여전히 적자 기조를 보이고 있다. 제2의 렉라자 발굴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오스코텍의 연구개발비는 2023년 249억원, 2024년 214억으로 집계됐다. 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매출 확대에 따라 적자 폭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올 상반기 영업손실은 90억원으로 1년 전(153억원) 대비 41% 감소했다.

하반기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의 피하주사(SC) 제형이 FDA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오스코텍의 로열티 수익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SC 제형은 정맥주사(IV) 대비 투약 시간이 단축돼 환자들의 치료 편의성이 높아 처방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오스코텍은 렉라자의 뒤를 이을 신약 파이프라인으로 국내 바이오텍 아델과 공동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ADEL-Y01'를 꼽고 있다. ADEL-Y01은 현재 글로벌 1상 단계에 있으며,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 중이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오스코텍이 최근 NDR에서 ADEL-Y01에 대해 글로벌 빅파마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재 기술이전 협의가 진행 중임을 밝혔다"며 "빠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중에는 기술이전 계약 체결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지난 2022년 카나프테라퓨틱스로부터 도입한 신규면역항암치료제 후보물질 'OCT-598'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5월 FDA에 임상 1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 1상에서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OCT-598의 안전성과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오스코텍 관계자는 "오스코텍은 타우 단백질 타깃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델 ADEL-Y01 뿐만 아니라 차세대 파이프라인으로 항내성 치료제 관련 OCT-598, ITP 치료제 세비도플레닙 등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혁신 신약개발 기업으로서의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yki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