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태계 발전의 초석…4차 발사도 만전”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누리호 기술 이전을 통해 민간 주도의 우주 개발 시대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내 독자 개발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국내 최초 우주발사체 전주기 기술을 민간에 이전한 사례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에 걸쳐 항우연 주도하에 300여 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함께 개발한 우주 발사체다.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대한민국은 자국 기술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고도화사업의 체계종합 기업으로 선정돼 항우연과 함께 누리호 제작·발사 운용 업무를 맡았다. 이번 계약을 통해서는 누리호 설계, 제작, 발사운영 등 발사체 개발 전 주기 기술을 이전 받는다. 또 2032년까지 직접 누리호를 제작하고 발사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확보하게 됐다.
다만 누리호 발사대, 추진 및 엔진 시험설비 운용 및 시험기술, 참여업체별 고유 기술 등 누리호 제작과 관련 없는 기술은 이전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누리호 발사를 위한 시설 투자에도 나섰다. 약 500억 원을 투입해 전남 순천에 2만3140㎡(약 7000평) 규모의 우주발사체 단조립장을 짓고, 누리호는 물론 향후 차세대발사체 등 후속 사업을 위한 독자적인 민간 인프라를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앞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우연과 누리호 연속 발사를 공동 수행하면서 누리호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축적된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전 받고 교육과 세미나 등도 병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기반을 마련하고, ‘우주수송 서비스-위성체-위성 서비스’로 연결되는 우주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항우연이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과 끊임없는 개발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누리호의 기술 및 비용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상업 발사 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