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으로 전래된 커피, 일명 가비, 가배로 점철된 대한민국 커피의 역사

2024-09-26

한국에서는 19세기 말 조선 말기에 무역이나 선교 등 여러 목적으로 방문한 서양인들을 통해 커피가 퍼지기 시작했으며 당시 미국과 러시아를 통해 국내에 들어온 커피를 음차해 가비라고 부르거나 가배라고 불렀다. 그러나 고종이 대한제국의 황제라 칭할 즈음에 벌어진 개화운동으로 가비나 가배보단 양탕(洋湯)국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커피를 처음 접한 조선시대 사람들은 막사발에 마셨는데 우리민족의 사발문화와 서양 커피문화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1884년 1월 미국인 천문학자이자 외교관인 퍼시벌 로렌스 로웰(Percival Lawrence Lowell, 1855~1916)이 회고록에 기록하기를 한강변에 위치한 창랑정(滄浪亭)에서 '조선에서는 최신 문물(that latest nouveaute in Korea)이었던 커피를 식후에 마셨다'고 적은 것이 대한민국에서 커피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식후 식혜, 수정과 등을 마시던 문화가 커피로 대체된 것으로 추측되곤 한다. 이러한 커피 문화는 21세기 대한민국으로까지 이어져 한국인이 많이 먹는 음식 중 커피가 김치를 뛰어넘어 1위를 차지할 정도가 되었다. 1884년 오늘날 연세대학교인 광혜원(제중원)을 설립한 인물로 알려진 미국인 의사이자 선교사 호라스 뉴튼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도 조선의 궁중 시종들이 커피를 대접하였다고 기록했다. 양반들은 외국인에게 커피를 선물받으면 조금씩 아껴 마셨다고 하였으며 특히 당시 대한제국 황제였던 고종도 커피를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고종의 경우,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넘어 커피에 대한 조예가 있었는지 1898년 실각한 권신 김홍륙(?~1898)이 고종을 암살하기 위해 고종이 마실 커피에 독약을 탔는데 평소 마시던 커피와 향이 다름을 눈치챈 고종이 독살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기도 했다. 

그러나 같이 마셨던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은 맛의 차이를 눈치채지 못하고 마시게 되었으며 이후 죽을 때까지 고생하게 된다. 다른 국가들처럼 커피가 매우 귀하고 비쌌다 보니 상류층들 위주로 즐겨 마시는 고급 음료로 나타나지만 과거보다 커피 공급 수단이 원활해지고 간편한 인스턴트 방식의 커피가 나오면서 이제는 누구나 쉽고 가까이 즐길 수 있는 대중 음료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한때 커피가 전량 수입품이었기에 5.16 직후 한동안 커피 수입을 금지하여 콩 껍질을 태워 대용식의 커피를 만들거나 커피 대신 쌍화탕을 대접하는 등 지금 시점에서 보면 매우 어이없는 상황을 연출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한국식 인스턴트 커피는 세계로 역수출 하여 좋은 평을 듣거나 한국발 달고나 커피가 한류를 타고 여러 나라에서 유행하는 등 대한민국 커피 문화는 점차 발전하고 있다.

여담으로 전 세계에서 커피와 차 둘 중 어느 음료를 더 많이 마시는지 대해 조사한 해외 통계가 있는데 이 자료에서 한국은 주변국인 중국, 일본과 달리 차보다 커피를 마시는 비중이 더 높게 나왔다. 뿌리깊은 숭유억불로 인해 차 문화의 성장이 미진했던 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한국의 커피 선호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유난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멜리타 드립 커피, 에스프레소 등이 수입되었고, 1930년경에 프렌치프레스, 에스프레소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모카포트, 이탈리아 인들이 미국에 가져간 에스프레소를 현지인들에게 맞춘 아메리카노 등이 탄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궁중에서 상류층들이 즐기던 커피는 20세기 초 커피를 판매하는 일명 ‘다방’이 생기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다방은 세계2차대전(1939-1945) 전후로 하여 대부분 문을 닫았다가 해방과 동시에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기 시작하면서 군용식량에 포함되어 있던 인스턴트 커피를 통해 한국인들은 커피 맛을 경험했다.

이전까지는 커피박을 거르기 위해 면보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기도 했었지만 1946년 전후, 커피 추출물을 건조시킨 인스턴트 커피가 등장하여 유럽인이 아닌 다른 국가의 대중들에게도 커피가 친숙해지고 대표적인 각성제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 당시의 커피에 대한 인식은 카페인 섭취가 주 목적이었다. 1970년대까지 한국의 가정에서는 손님이 오면 접대용으로 내놓는 것이 커피였으며 이후 1980년대 커피믹스가 개발되고, 커피자판기가 등장하면서 커피의 대중화가 일어났다. 1960년 이후, 스타벅스와 같은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생겨나고 에스프레소를 이용해 각종 첨가물들을 섭렵한 배리에이션 커피가 본격적으로 세계에 대중화되었다. 서구권에만 있던 카페 문화가 본격적으로 세계에 퍼진 것으로 생각되며 대한민국에는 1999년 7월 27일 이화여자대학교 앞에 처음으로 오픈한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카페베네, 이디야커피 등 국산 커피브랜드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offee introduced to Joseon, aka Gabi, Gabae, and the history of coffee in Korea

Columnist Jeong Gil-seon

In Korea, coffee began to spread in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Westerners who visi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rade or missionary work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coffee that entered the country through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was called Gabi or Gabae after being brewed. However, due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that took place around the time when Gojong claimed to be the emperor of the Korean Empire, the name Yangtang (洋湯) was used instead of Gabi or Gabae. People in the Joseon Dynasty who first encountered coffee drank it in a bowl, which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harmonious blending of our people’s bowl culture and Western coffee culture. In January 1884, American astronomer and diplomat Percival Lawrence Lowell (1855-1916) wrote in his memoir that he drank coffee, the latest nouveaute in Korea, after a meal at Changrangjeong (滄浪亭) on the banks of the Han River. This is considered the oldest record of coffee in Korea.

It is assumed that the culture of drinking sikhye and sujeonggwa after a meal was replaced by coffee. This coffee culture continued into 21st century Korea, and coffee has surpassed kimchi to become the most consumed food among Koreans. Horace Newton Allen (1858-1932), an American doctor and missionary known for establishing Gwanghyewon (Jejungwon), which is now Yonsei University, in 1884, also recorded that royal servants in Joseon served coffee. It is said that the nobles drank coffee sparingly when they received it as a gift from foreigners, and in particular, Emperor Gojong of the Korean Empire at the time was said to have loved coffee very much. In the case of Emperor Gojong, it was not just a simple love, but a knowledge of coffee. In 1898, Kim Hong-ryuk (?~1898), a powerful official who had fallen from power, poisoned the coffee that Emperor Gojong was going to drink in order to assassinate him, and Emperor Gojong was able to avoid being poisoned because he noticed that the coffee he usually drank had a different flavor. However, Crown Prince Sunjong, who was drinking it with him at the time, did not notice the difference in taste and continued to drink it, suffering until his death. As in other countries, coffee was very rare and expensive, so it was considered a luxury drink enjoyed mainly by the upper class, but now, with the supply of coffee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the introduction of convenient instant coffee, it has become a popular drink that anyone can easily and conveniently enjoy. In Korea, coffee was once an entirely imported product, so coffee imports were banned for a while right after May 16, and coffee substitutes were made by burning the bean hulls, or people served Ssanghwatang instead of coffee, which created situations that are quite absurd from today's perspective. However, as time passed, Korean-style instant coffee was exported to the world and received good reviews, and Korean-made Dalgona coffee became popular in many countries riding the Korean Wave, and Korean coffee culture is gradually developing.

As a side note, there are overseas statistics that surveyed which drink is consumed more between coffee and tea around the world, and in this data, Korea, unlik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coffee than tea. It is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slow growth of tea culture due to deep-rooted Confucianism and suppression of Buddhism is the reason, but Korea's preference for coffee is considered to be unusual among Asian countries. In the 20th century, Melitta drip coffee, espresso, etc. were imported, and around 1930, French press, moka pot for easy espresso, and Americano, which was a version of espresso that Italians brought to the United States and adapted to the locals, were created. In this way, coffee, which was enjoyed by the upper class in the royal court, began to be populariz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o-called ‘tea houses’ selling coffee were established. Most of these tea houses closed around the time of World War II (1939-1945), but after liberation, when the US military began stationing in Korea, Koreans experienced the taste of coffee through instant coffee, which was included in military rations.

Before that, they used cotton cloth to filter out coffee grounds, but around 1946, instant coffee, which was made by drying coffee extract, appeared, and coffee became familiar to the public in countries other than Europe, and it took on the role of a representative stimulant. At that time, the main purpose of coffee was to consume caffeine. Until the 1970s, coffee was served to guests in Korean homes, and coffee became popular in the 1980s with the development of coffee mixes and the introduction of coffee vending machines. After the 1960s, franchise cafes such as Starbucks emerged, and variation coffees using espresso and various additives became popular throughout the world. It is thought that the cafe culture that had existed only in the West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nd in South Korea, Starbucks, which opened its first store in front of Ewha Womans University on July 27, 1999, gave rise to domestic coffee brands such as Caffe Bene and Ediya Coffee.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