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진투자증권은 1일 투자자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투자 종목을 찾을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조건검색 서비스 '유진AI'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증권 회사 자체의 조건검색 데이터와 생성형 AI 기능을 결합한 증권 업계 첫 사례다. 투자자들은 복잡한 전문 용어가 아닌 일상 용어를 사용한 질문을 통해 투자 조건을 설정하고 종목을 탐색할 수 있다. 그동안 투자자들은 원하는 종목을 찾기 위해 적지 않은 지표와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거나 홈트레이딩서비스(HTS)나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의 조건검색 기능을 활용해야 했다. 조건검색은 각종 지표와 변수를 활용해 전략적 종목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툴이지만, 투자 경험이 적은 이용자들에겐 용어와 절차가 복잡하다는 평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진투자증권은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생성형 AI를 조건검색 프로세스와 연동했다. 예컨대 "배당을 많이 주면서 저평가된 종목은?", "반도체 테마에서 최근 52주 신고가를 달성한 종목은?" 등과 같이 일상적인 언어로 질문하면 AI가 적절한 조건식을 제시한다. 세부 옵션까지 자동 설정해 주고, 기업 정보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연동되기 때문에 실제 매매 전략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번 서비스는 모바일 중심 투자 환경을 고려해 MTS에서 제공되며 1차 버전에서는 주요 조건식과 조건식별 변수, 증권 용어, 기업 정보 등이 지원된다. 이어지는 2차 업데이트에서는 전체 조건식으로 확대해 검색의 정확도와 활용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MTS 전체 메뉴와의 연동, 증권 전문 말뭉치 학습을 통해 답변의 정확도를 높이고 대화 맥락을 이어갈 예정이다. 조건을 축적, 추론하는 연역적 검색 기능을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고도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노진만 유진투자증권 IT본부장은 "유진AI는 고객이 직접 복잡한 조건식을 작성하지 않아도 AI가 질문 의도에 맞춰 최적의 종목 검색을 지원하는 서비스"라며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고객 경험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