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성 아들 이렇게나 훌쩍"…결혼과 출산은 별개인 '혼외자' 1만 명 시대

2025-10-31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과 낳은 아들의 근황을 공개해 화제인 가운데 이 둘의 사례처럼 부부가 아닌 상태에서 아이를 가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혼인 외 관계에서 태어난 신생아가 1만명을 돌파하며 3년째 증가세를 보였다,

3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국가데이터처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혼인외 출생자는 1만 900명으로 3년 연속 증가했다. 전체 출생아(23만 명)의 4.7%였다. 혼인 외 출생아는 2013년 9300명에서 2020년 6900명까지 줄었다가 2021년(7700명), 2022년(9800명)에 이어 계속 증가세다.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혼외 출산 비율은 0~2%대에 머물러왔지만 2018년 2.2%로 2%대를 넘어선 후 급속하게 비중이 높아져 2022년 3.9%로 3%대에 진입했고 2023년 처음으로 4%대에 올라섰다.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동거하는 사실혼 관계 등에서 출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혼외 출생률인 41.5%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또 청년 세대에서는 결혼하지 않더라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등 인식의 변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올해 20∼29세 중 42.8%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10년 전 30.3%만이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과 비교하면 12.5% 증가한 수치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2014년 34.9%에서 올해 22.2%로 줄었다. 성별로 보면 20대 남성의 43.1%, 20대 여성의 42.4%가 결혼하지 않고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답해 차이가 별로 없었다.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남성(12.6%)보다 여성(15.9%)이 더 높았다.

앞서 모델 문가비는 2023년 6월 임신해 지난해 3월 아들을 낳은 뒤 같은 해 11월 인스타그램에 출산 소식을 알렸다. 문가비는 아이의 친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으나, 며칠 뒤 친부가 배우 정우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를 모았다. 정우성은 친자 확인 절차도 거쳤다고 한다.

당시 정우성 소속사 아티스트 컴퍼니는 “문가비 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한 아이는 정우성의 친자가 맞다”며 “아이의 양육 방식에 대해 최선의 방향으로 논의 중이며 아버지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우성은 이후 청룡영화상 시상식에서 영화 ‘서울의 봄’ 최다 관객상 수상 소감을 전하며 “사랑과 기대를 보내주신 모든 분께 염려와 실망을 드린 점 진심으로 죄송하다. 모든 질책은 제가 받고 안고 가겠다. 아버지로서 아들에 대한 책임은 끝까지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