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NFLX 2030년 시총 1조달러 로드맵 ① 성공 신화 지속된다

2025-04-18

1Q 어닝 서프라이즈

2030년까지 매출 두 배

광고 수입 폭풍 성장

이 기사는 4월 18일 오후 2시0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가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연출한 가운데 2030년까지 시가총액 1조달러를 향한 내부 청사진이 월가의 관심을 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업체는 2030년까지 매출액을 두 배 확대하는 등 시가총액 1조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마련했다.

4월17일(현지시각) 업체의 주가는 장 마감 후 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1.19% 오르며 973.0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은 4113억달러. 2030년까지 기업 가치를 두 배 이상 끌어올린다는 얘기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엔비디아(NVDA)를 포함한 빅테크가 휘청거리는 상황이지만 넷플릭스의 경영자들은 2030년까지 실적 호조와 기업 가치 상승을 낙관하는 모습이다. 지난 3월 고위 경영진들의 연례 총회에서 장밋빛 비전이 선포됐다.

업체는 2030년 매출액 800억달러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2024년 390억달러에서 두 배 성장을 목표로 제시한 셈이다. 2030년 영업이익 목표치는 100억달러로, 2024년 대비 세 배 늘린다는 계획이다.

분기 실적 발표 때 업체는 글로벌 광고 매출액을 별도로 공개하지 않는다. 시장 조사 업체 이마케터는 스트리밍 공룡 업체의 광고 매출이 2025년 21억5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소식통은 이번 총회에서 경영진들이 2030년 광고 매출 목표치를 90억달러로 제시했다고 전했다.

전세계 구독자 수가 2024년 말 3억163만명으로 집계된 가운데 경영진은 2030년 목표를 4억1000만명으로 잡았다.

넷플릭스는 최근 몇 년간 조심스럽게 구독료를 인상하는 한편 회원들의 패스워드 공유를 제한하는 전략으로 수익성을 강화했다. 경쟁사들이 케이블 비즈니스의 수익성 악화에 고전하는 한편 이른바 D2C(direct to consumer) 서비스를 확대하는 데 힘쓰는 사이 넷플릭스가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했다.

넷플릭스 경영진은 2030년까지 해외 구독자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인도와 브라질 등 고속 통신망 인프라가 갖춰진 신흥국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광고 사업 부문에 대해서도 경영진들은 낙관하는 모양새다. 넷플릭스의 광고 지원 요금제는 2022년 11월 출시된 후 최근까지 다소 느리지만 탄력을 받고 있다. 구독 리서치 업체 안테나에 따르면 2025년 2월 미국 내 신규 가입자의 43%가 광고 지원 요금제를 선택, 1월 40%에서 상승했다.

또 다른 시장 조사 업체 모펫네이선슨의 로버트 피시먼은 보고서에서 "넷플릭스의 광고 사업이 아직 초기 단계지만 규모를 키우기 시작했다"며 "이에 따라 새로운 성장 동력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넷플릭스는 이달 미국 내 초기 파트너였던 마이크로소프트(MSFT)를 대체해 자체 광고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고 구매자들은 넷플릭스가 라이브 스포츠 콘텐츠를 추가하는 전략으로 브랜드들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을 거뒀고, 2024년 요금 인하를 통해 경쟁 스트리밍 업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춘 데 따른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4월17일 공개한 업체의 1분기 실적도 '서프라이즈'였다. 매출액이 105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3% 급증한 동시에 월가의 예상치인 105억2000만달러를 상회했다. 주당순이익(EPS) 역시 6.61달러로, 시장 전문가들이 기대했던 5.71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1월 말 넷플릭스는 전반적인 구독료를 인상했다. 스탠더드 구독료를 월 17.99달러로 올리고, 프리미엄 플랜도 24.99달러로 인상했다. 광고 지원 요금제 역시 7.99달러로 올렸다. 분기 실적이 호조를 이룬 데는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앞세운 가격 인상이 한 몫 했다.

업체는 2025년 매출액 전망치를 435억~445억달러로 제시했다. 예상치 상단을 기준으로 할 때 전년 대비 14.1% 늘어나는 셈이다.

2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110억4000만달러. 애널리스트의 전망치 109억달러보다 높은 수치다. 관세 충격에 실적 경고가 곳곳에서 불거지는 상황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번 실적 컨퍼런스에서 관세 영향에 대한 질의에 넷플릭스의 그렉 피터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지금까지 비즈니스 상황을 볼 때 관세에 따른 직접적이고 심각한 충격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역사적으로 경기 한파 속에 강한 저항력을 보였다"며 "넷플릭스도 위기 때마다 상황을 돌파하는 저력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업체는 과거 고속 성장기에 비해 구독자 수 증가 속도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광고 매출을 확대해 수익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번 실적 발표 자리에서도 경영진은 2025년 비즈니스의 관건은 광고 부문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1분기 실적을 통해서 확인된 것처럼 가격 결정력도 넷플릭스의 커다란 강점으로 꼽힌다. 디즈니와 아마존을 포함한 경쟁 업체들이 공격적인 행보를 취하고 있지만 업체는 여전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강력한 콘텐츠 라인업이 넷플릭스에 강력한 가격 결정력을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2025년 1분기까지 업체는 수 년간에 걸쳐 꾸준히 가격을 인상하면서도 구독자 기반을 확대했다.

저가형 베이직 요금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사용자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광고 지원 옵션을 도입하는 전략이 성공을 거뒀다는 진단이다. 1분기 광고가 제공되는 국가에서 신규 가입의 55% 이상이 광고 요금제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의 광고 전략의 성공 여부를 월가와 업계는 여전히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제 시장에서 지나치게 광고에 의존한 성장을 추구할 경우 구독자 1명 당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기존 콘텐츠에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효과를 낸다면 커다란 성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강세론자들은 넷플릭스의 광고 사업 전략이 이미 성공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주장한다. 신규 구독자들의 광고 지원 구독 선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데다 스탠더드나 프리미엄 요금제보다 대폭 낮춘 광고 요금제가 잠재 고객들의 회원 가입을 부추긴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과격한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 소비자 신뢰가 급랭하는 상황에 1분기 업체의 구독자 기반이 성장을 지속했고, '깜짝 실적'을 이뤄낸 데 월가는 커다란 의미를 둔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1분기 업체는 1890만명의 신규 구독자를 확보했다. 이번 지표는 업체가 공개하는 마지막 분기 구독자 데이터다.

shhw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