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이성훈 기자 lllk1@kyeonggi.com
기자페이지
수출기업·접경지역, 한미회담 결과 ‘촉각’ 道 “회담 후 기업 지원·안보 대응 전략 논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이하 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만나면서 양국의 주요 현안들과 직결된 경기도에 미칠 파급효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실용주의 국익 외교’를 내세운 이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한미정상회담인 만큼, 관세·안보·북핵 등 복잡한 현안에 대한 이번 협상의 장에서 새 정부 국정 운영 동력은 물론, 최다 수출기업과 접경지역을 보유한 경기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관세 협상 후속 조치를 비롯해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국방비 증액과 방위비 분담금 문제,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한미일 3각 공조 강화, 북핵 및 한반도 평화 정착 방안 등이 제기돼 왔다.
특히 관세 협상 후속 조치는 도내 기업들 사이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는 사안이다. 미국은 지난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대해 평균 15% 관세를 부과했고, 철강·알루미늄에는 여전히 50% 고율 관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지난달 2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26% 가까이 줄어드는 등 피해가 현실화됐다. 도는 2023년 기준 전체 수출기업 3만5천345곳 중 미국 수출 기업이 8천991곳에 달하며 철강 관련 3천420곳, 알루미늄 1천549곳, 자동차와 트레일러 제조업체 930곳 등 5천900여곳이 관세 직격탄을 맞을 수 있어, 회담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안보 현안도 주목된다. 트럼프 정부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국방비 증액을 지속 강조해 왔다. 이는 중국 견제 속 동맹 현대화를 내세운 미국 구상과 맞물려 접경지역을 다수 보유한 도의 안보 지형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도는 전국에서 북한과 마주하는 최다 접경지역을 가진 만큼, 방위비와 주둔군 재배치 문제는 곧바로 도민 생활 안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정상회담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도내 수출기업과 접경지역 도민들의 삶에 직접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는 평이 나온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도내 기업들의 피해 규모와 수출 전략을 점검해야 할 상황”이라며 “도는 이번 회담 이후 나온 합의와 분위기를 지켜보며 기업 지원과 안보 대응 전략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