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여파로 미국의 식료품 물가가 급등하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식료품과 관련한 관세를 낮추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이달 치러진 ‘미니 지방선거’ 참패로 확인된 민심 이반이 ‘식탁물가’ 급등으로 악화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에 나서는 모양새다.
12일(현지 시간)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미 워싱턴DC에서 이코노믹클럽이 주최한 대담에 참석해 “최근 (백악관과 행정부 내에서) 논의된 사항 가운데 하나는 식료품 관세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라며 “추가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같은 날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식품 가격을 완화하기 위해 며칠 내로 중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두 사람의 발언에 대해 “식료품 가격을 낮추기 위한 관세 조정을 시사한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미국의 커피 가격은 올 8월 전년 동기 대비 20.9% 오른 데 이어 한 달 후인 9월에도 18.9% 비싸졌고 사과와 바나나 값은 9월 기준 각각 5.2%, 6.9% 상승했다. 소고기는 6월부터 9월까지 가격 오름폭이 10%를 웃돌았다. FT는 “8월 전 세계에 부과가 시작된 상호관세의 영향으로 식품 수입품 가격 상승에 불이 붙은 것”이라며 “미국 서민들의 생활비 부담을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최대 마트인 타깃은 가계 부담 완화를 위해 이날부터 연말까지 전국에서 3000여 개 품목에 대한 할인행사를 진행한다.
이런 가운데 스트리밍으로 영화나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가격이 오르는 ‘스트림플레이션(Streamflation)’도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넷플릭스(1월)와 피콕(7월), 애플TV(8월)가 올해 잇따라 구독료를 올렸고 내년 초에는 파라마운트+가 인상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고소득층을 제외하고 1인당 2000달러(약 294만 원)의 ‘관세 배당금’ 지급 방침을 밝힌 것도 이 같은 물가 상승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물가 상승의 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13일 예고됐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연방정부의 셧다운 여파로 발표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다음 달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물가와 관련한 정밀한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한 채 ‘깜깜이’로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설] 수출·환율 불안 커지는데 반도체법·K스틸법 처리 왜 늦추나](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AMLUMU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