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체게바라, 고 장기표 선생을 추모하며 올리는 글

2024-09-23

“(…) 나는 아이티와 산토도밍고를 제외한 라틴아메리카 전역을 여행하였습니다. 처음에는 학생으로, 나중에는 의사로서 빈곤과 기아, 질병을 목격했습니다. 속수무책으로 죽어가는 어린아이를 내버려 둘 수밖에 없는 일이 우리 아메리카의 기층 민중들에게는 대수롭지 않은 현실임을 그저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그리하여 나는 학자나 의사가 되는 것보다 더 중요한 무언가가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고통 받는 민중을 직접 돕는 길임을 어렴풋이 깨달았습니다.

(…) 나는 라틴 아메리카 어느 국가의 자유를 위해서라도 내 목숨을 기꺼이 바칠 각오입니다.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고, 누구도 착취하지 않고, 어떤 대가도 바라지 않겠습니다. 오직 정의와 진실을 지키기 위해 목숨이 다하는 그 날까지 싸우고 또 싸울 것입니다. (…)”

이 말 그대로 한 점의 오차도 없이 살았던 주인공은 볼리비아 혁명을 꿈꾸다가 체포되어 장렬하게 산화한다. 그의 나이 39세였다.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가 ‘20세기의 가장 완벽한 인간’이라고 칭송했던 체 게바라, 그는 노예를 강요하는 자본주의와 자유를 억압하는 사회주의에 맞서 싸운 ‘영원한 혁명의 아이콘’이다.

이미 세상이 다 알다시피 체 게바라의 일생은 혁명 그 자체다. 개인적 삶에 연연하지 않고 오직 가난과 핍박 속에 허덕이는 민중을 위해 정의와 진실의 길을 끝까지 걸어간 그의 뒷모습은 많은 사람을 감동케 하고도 남음이 있다.

굳이 체 게바라와 같은 투쟁적 삶이 아니더라도 자신이 추구하는 길을 올곧게 지킨 사람은 그가 누구든, 그것이 무엇이건, 아름다운 사람이다. 안락한 삶을 버리고 온갖 풍파를 겪으며 신념 하나만으로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어쩌면 그들이 바로 한 시대를 이끌어온 진정한 영웅이리라. 그런 의미에서 체 게바라는 우리 시대의 영웅임에 틀림이 없다.

체 게바라의 삶을 다룬 많은 평전이 있지만, 대부분이 혁명의 궤적을 따라가며 그려낸 것일 뿐, 내면에 깃든 남모르는 인간적 고뇌를 심층적으로 다룬 것들은 좀처럼 찾기 힘들다.

체 게바라의 초상만 해도 그렇다. 베레모를 쓰고, 시가를 문 채 먼 곳을 응시하는 텁수룩한 수염 속의 얼굴, 짙은 눈썹과 강렬한 투쟁의 눈빛, 모두가 혁명에 대한 열망을 상징하는 것들 뿐이다.

그러나 그의 최후를 보여주는 사진과 유품을 보면, 두렵고 고독한 혁명의 전장에서 그가 무엇을 어떻게 고뇌하며 몸부림쳤는지 일면이나마 엿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사후 알려지지 않은 그의 유품 중에는 녹색 노트 한 권이 있었다. 그 내용이 2007년 공개되었다. 그 속에는 뭐가 기록되어 있었을까? 게릴라 명부? 혁명의 전략? 투쟁 일기? 아니다. 시가 필사되어 있었다. 파블로 네루다, 세사르 바예호, 니콜라스 기옌, 레온 펠리페 등 그가 좋아한 저항 시인들의 시 69편이었다.

살벌한 구호가 제격일 것 같은 혁명가의 노트에 웬 시가? 유품치고는 참으로 생뚱맞게 여겨진다. 나폴레옹이 전장의 말 위에서 책을 읽는 사진은 만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지만, 우리 시대의 ‘이성을 가진 낭만주의자’ 체 게바라의 유품이 뜻밖에도 ‘필사된 시’라는 것은 참으로 궁금증을 자아낼 만하다.

문학을 통해 황폐해져 가는 내면을 다독여야 했던 체 게바라는 전장의 대원들에게 ‘글을 읽지 못하면 총을 들 이유도 알지 못한다’고 강조했을 만큼 틈만 나면 책을 읽었다. 시는 결국 체 게바라에게 있어 생사가 오가는 혁명의 와중에 자칫 잃을지도 모르는 인본(人本)을 지켜주던 어깨동무였던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까닭은 그의 자작 시속에 있다. 체 게바라는 시인이었다. 시인이자 혁명가였다. 시와 혁명, 이 둘은 아주 먼 거리에 있는 단어다. 그러면서도 더없이 친밀한 조합을 이룰 수 있는 친구다. 정의와 진실을 위해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그 일생 자체가 또한 시가 아니고 무엇이랴. 체 게바라는 단 한 번도 초심을 잃은 적이 없었다고 전한다. 그 증거는 쿠바에서의 혁명이 성공한 후 또다시 새로운 혁명을 위해 영광을 버리고 떠난 그의 진정성이다.

체 게바라는 불의를 인류 공동의 적으로 규정했고 그 앞에서 당당했으며, 혁명은 희생으로 이루어진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열매의 단맛에 취해 초심을 잃은 동료들의 배신을 무엇보다 슬퍼했다.

두 번에 걸친 남미 여행은 젊은 체 게바라에게 깊은 깨달음을 주었다. 헐벗고 굶주린 기층 민중들이 체 게바라 자신이 속한 중산층보다 훨씬 더 인간적임을 알게 되었다. 결국 그날의 감동이 혁명의 불씨가 되었으니, 체 게바라 혁명의 본질은 인간에 대한 연민과 동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그도 때로는 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불의를 증오한 나머지 꼭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었음에도 사형제를 부활 시켜 친미·반혁명 세력 1만 4000명의 목숨을 빼앗았다.

또 한 가지, 간디와는 다르게 무력을 통해서만이 불의와 싸울 수 있다고 믿었던 점이다. 과연 어느 쪽이 더 정의를 구현하는 데 효과적이냐 하는 것은 대상과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이 나올 것이므로 그냥 넘긴다.

체 게바라는 혁명의 열매에 탐닉하지 않고, 불의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 나섰다. 그 점이 여타의 다른 혁명가들과 다르다. 개인적으로는 의사로서 충분히 안락한 삶이 보장되었음에도 민중을 위한 혁명의 가시밭으로 서슴없이 들어섰고, 쿠바혁명 후에는 권력과 부가 보장된 산업 장관과 국립은행 총재 자리를 헌신짝처럼 던져버린 후 볼리비아의 산악으로 들어가 게릴라가 되었다. 이는 과거 어떤 혁명가도 선택한 적이 없었던 길이다. 철의 심장을 가졌을 것만 같은 체 게바라. 순간순간 자신의 운명이 어떻게 끝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을 체 게바라, 자신이 약속했던 정의와 진리의 길을 끝까지 걸어갔던 체 게바라, 그는 행복한 사람이었다. 자신이 세운 목표에 대한 확신과 그 확신이 이루어질지도 모른다는 희망 속에 살았을 터이니, 타인의 눈에 비친 모습과는 달리 스스로는 행복했을지도 모른다. 

그런 그가 감당할 수 없는 슬픔 속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고 고백한다. 이를 어찌 받아들여야 좋을까? 이쯤에서 체 게바라가 지은 시 한 편을 읽어본다. 제목은 ‘먼 저편-미래의 착취자가 될지도 모를 동지들에게’이다.

“지금까지 나는 나의 동지들 때문에 눈물을 흘렸지

결코 적들 때문에 눈물을 흘리지는 않았다오늘 다시 이 총대를 적시며 흐르는 눈물은어쩌면 내가 동지들을 위해 흘리는마지막 눈물이 될지도 모른다우리는 그 멀고 험한 길을 함께 걸어왔고또 앞으로도 함께 걸어갈 것을 맹세했었다하지만 그 맹세가 하나둘씩 무너져갈 때마다 나는치밀어오르는 배신감보다도 차라리 가슴 저미는 슬픔을 느꼈다누군들 힘겹고 고단하지 않았겠는가누군들 별빛 같은 그리움이 없었겠는가그것을 우리 어찌 세월 탓으로만 돌릴 수 있겠는가비록 그대들이 떠나 어느 자리에 있든 이 하나만은 꼭 약속해다오그대들이 한때 신처럼 경배했던 민중들에게한 줌도 안 되는 독재와 제국주의의 착취자들처럼거꾸로 칼끝을 겨누는 일만은 없게 해다오그대들 스스로를 비참하게는 하지 말아다오나는 어떠한 고통도 참고 견딜 수 있지만그 슬픔만큼은 참을 수가 없구나동지들이 떠나버린 이 빈 산은 너무 넓구나밤하늘의 별들은 여전히 저렇게 반짝이고나무들도 여전히 저렇게 제 자리에 있는데동지들이 떠나버린 이 산은 너무 적막하구나먼 저편에서 별빛이 나를 부른다.(이산하 역)” 

이 시를 통해서 본 체 게바라의 가장 무서운 적은 총칼이 아니라, 인간성을 말살하는 제국주의의 거대한 자본이 아니라, 자유를 송두리째 빼앗는 사회주의의 고착화 된 이념이 아니라, 바로 동지들의 변심이었다. 즉 ‘한때 신처럼 경배했던 민중들에게/한 줌도 안 되는 독재와 제국주의의 착취자들처럼/거꾸로 칼끝을 겨누는 일’을 서슴지 않는 옛 동지들의 변심이 체 게바라를 얼마나 좌절케 했는지 충분히 짐작하게 하는 시다.

흔히 목도하는 사이비 개혁론자나 그들의 위장 구호에 취해 무작정 환호하는 어리석은 군중을 체 게바라는 또 다른 적으로 이미 규정하고 있었다. ‘먼 저편’과 함께 여러 시에서도 우리는 체 게바라의 심중에 깃든 슬픔과 분노의 행선지가 어디인지를 충분히 가늠해 볼 수가 있다.

“… 우리의 견해가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져/ 편향되거나 성급하지는 않은가?/ 우리의 결론이 너무 완고하지는 않은가? … (라틴 여행기를 쓰며) … 지금도 이 세상의 어느 누구인가가 당하고 있을/ 그 모든 불의에 맞설 수 있는 능력을 키웠으면 좋겠다. … (어린 딸에게) … 동지들이여, 나 역시 내 안에 파쇼가/ 전혀 없다고는 말하지 않겠다/ 아니, 어쩌면 그 누구보다도 더 많을지 모른다/ 내가 나를 어찌 다 알겠는가/ 내가 나를 어찌 다 통제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그럴 때마다 나는 내가 들고 있는 이 총구를 본다/ 그 좁고 컴컴한 구멍이 마치 내 가슴속처럼 보인다/ 총알이 하나씩 빠져나갈 때마다/ 내 안의 파쇼도 하나씩 빠져나가리라. … (내 안의 파쇼) … 기쁨과 슬픔을 안은 채/ 만감이 교차하는 마음으로/ 이 쿠바를 떠납니다/ 내가 이루고 싶었던/ 그 많은 희망들 중에서/ 가장 순수한 희망만을 남겨놓고/ 나는 떠납니다. … (쿠바를 떠나며) …쿠바를 떠날 때 누가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씨를 뿌리고도 열매를 따 먹을 줄 모르는/ 바보 같은 혁명가라고/ 내가 웃으며 그에게 말했다/ 그 열매는 이미 내 것도 아닐뿐더러/ 난 아직 씨를 더 뿌려야 할 곳이 많다고,/ 그래서 나는 행복한 혁명가라고.… (행복한 혁명가)” 

열거한 여러 편의 시구에서 보듯, 체 게바라는 자신의 내면에 도사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탐욕과 위선을 끊임없이 경계했다. 그래서 그는 이념에 경도되지 않으려 노력했고, 열매에 탐닉하는 동지들을 슬퍼했으며, 교언영색으로 민중을 현혹하는 가짜 혁명가들의 간교함에 분노했다.

그는 자신을 향해 바보 같은 혁명가라고 비웃는 예전의 동지들, 어느새 기득권이 되어 온갖 권력과 호사를 누리는 과거 고난을 함께 했던 그들에게, 열매는 너희들의 것이 아님을 질타하며 아직도 씨를 뿌려야 할 곳이 많은 나는 행복한 혁명가라고 자신을 스스로 위로했던 것이다.

수많은 사람이, 기라성 같은 논객들이, 체 게바라를 흠모하며 그를 따라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고 외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 누구도 체 게바라처럼 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초심마저 버린다면 그 혁명은 더 이상 정의가 아니다. 혁명에 대한 민중의 기대는 비록 그것이 도구로 이용되었다 할지라도 순수성만큼은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사이비들의 혁명 구호는 그네들이 아무리 포장해도 선동일 뿐이다. 역사의 법정은 이 위선을 추상같이 단죄하고 있다.

사이비들은 혁명의 진정성에 목숨을 건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열매를 얻는 것으로 자족한다. 그 과정에서 민중은 손짓에 따라 움직이는 노예가 되어 버린다. 이것이 오도된 혁명의 비애다.

슬프게도 작금의 대한민국은 체 게바라가 염려한 바대로 위선적 개혁론자들이 주도하는 나라가 되어 버렸다. 과거 한때 민주와 자유를 위해 싸웠다는 그 사람들이 신언패를 만들어 자유를 억압하고, 백성의 소망을 유린하며, 피의 대가로 이룩한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당한 권력에 빌붙어 서민의 삶을 도외시한 채 호사만 누려온 탐욕주의자들이 아직도 국민 위에 군림하려 한다.

그런데도 침묵하는 시대가 되었다. 한평생 거짓된 언행으로 살아온 위선자를 의인 모시듯 싸고도는 홍위병, 비리와 추문으로 자살한 파렴치범을 순교자로 둔갑시키는 마술, 의지할 곳 하나 없는 약자를 착취해 치부하고 출세를 해도 정당화되는 사회, 그러면서도 부끄러움을 모르는 몰염치한 군상들… 나는 되고 너는 안 되는 ‘우리끼리 법칙’이 횡행하는 현실에 아무런 거부감이 없다면, 후손들이 살아야 할 나라는 한 번도 구경하지 못한 지옥이리라. 만약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을 체 게바라가 지켜본다면 대한민국의 양심을 향해 격분에 찬 목소리로 일갈할 것이다.

“어리석은 민중이여, 눈을 뜨시라. 비겁한 지식인이여, 숨지 마시라. 애완견 언론이여, 펜을 꺾어라. 가짜 혁명가여, 열매는 너의 것이 아니다.”

체 게바라의 사자후를 들으며, 이제 우리가 해야 할 것은 광화문 광장에 그의 시구를 새겨놓는 일이다. ‘(…) 그대들이 한때 신처럼 경배했던 민중들에게/한 줌도 안 되는 독재와 제국주의의 착취자들처럼/거꾸로 칼끝을 겨누지 말라.’

무릇 어떤 행위든 그것이 정의를 표방한 것이라면, 정당성을 담보 받으려면, 사(私)가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 역사상 성공한 혁명의 뒤에는 반드시 혁명 주체들의 후퇴가 있었다. 봉건시대의 수많은 왕조가 혁명에 성공한 후 왜 공신들을 제거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 만하지 않은가?

금세기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혁명의 진정한 성공은 열매가 민중에게 돌아갈 때 이루어진다. 이는 만고불변의 진리다. 이 진리에 역행하는 한, 우리가 오매불망 염원하는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세상’은 영원히 오지 않는다. 그런데도, 지금 이 순간에도, 체 게바라의 영혼에 비수를 꽂고 있는 ‘미래의 착취자가 된 동지들’이 있다. 그들은 과연 누구인가? 인제 그만 망동(妄動)을 멈추게 할 때가 되었다.lee606163@hanmail.net

*필자/이현우 시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 post in memory of the late Jang Gi-pyo, the Che Guevara of Korea

- Poet Lee Hyeon-woo

“(…) I traveled all over Latin America except Haiti and Santo Domingo. At first as a student, and later as a doctor, I witnessed poverty, hunger, and disease. I had to simply watch how the common people of America had no choice but to helplessly leave a child to die, which was a trivial reality. Thus, I vaguely realized that there was something more important than becoming a scholar or a doctor, and that it was the path to directly helping the suffering people.

(…) I am willing to give my life for the freedom of any Latin American country. I will not demand anything, exploit anyone, or expect anything in return. I will fight and fight until the day I die, only to protect justice and truth. (…)”

The protagonist, who lived without a single mistake in this literal sense, was arrested and died a heroic death while dreaming of the Bolivian revolution. He was 39 years old. Che Guevara, praised by existentialist philosopher Sartre as ‘the most perfect human being of the 20th century’, is an ‘eternal icon of revolution’ who fought against capitalism that enforces slavery and socialism that suppresses freedom.

As the world already knows, Che Guevara’s life is revolution itself. His back figure, who did not dwell on his personal life but walked the path of justice and truth for the people suffering in poverty and persecution, is more than enough to move many people.

Even if he did not live a life of struggle like Che Guevara, anyone who uprightly pursues the path he pursues is a beautiful person, no matter who he is or what he is. How difficult it is to give up a comfortable life and live with only one belief while going through all kinds of hardships. Perhaps they are the true heroes who led an era. In that sense, Che Guevara is definitely a hero of our time.

There are many biographies about Che Guevara's life, but most of them are drawn along the trajectory of the revolut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nes that deeply deal with the unknown human agony that lies within him.

Even the portrait of Che Guevara is like that. His beret, his cigar-smoking face staring into the distance, his thick eyebrows and intense eyes of struggle, all symbolize his desire for revolution.

However, if you look at the photographs and relics that show his final days, you can get a glimpse of what he was struggling with and how he struggled in the fearful and lonely battlefield of the revolution. Among his relics that were not known after his death was a green notebook. Its contents were made public in 2007. What was written in it? A list of guerrillas? A revolutionary strategy? A struggle diary? No. It was a poem written down. It was 69 poems by resistance poets he liked, including Pablo Neruda, Cesar Vallejo, Nicolas Guillen, and Leon Felipe.

A poem in a notebook of a revolutionary who seemed to be perfect for his slogans? It seems very out of place for a relic. The photo of Napoleon reading a book on his horse in the battlefield is a well-known fact, but it is truly curious that the relic of Che Guevara, a ‘romantic with reason’ of our time, is unexpectedly a ‘written poem.

Che Guevara, who had to console his devastated inner self through literature, read books whenever he had the chance, to the point that he emphasized to his soldiers in the battlefield that ‘if you can’t read, you won’t know why you should take up arms.’ Poetry was ultimately a comrade who protected the humanity that Che Guevara could easily lose in the midst of a revolution where life and death were at stake.

The reason I think so lies in his own poems. Che Guevara was a poet. He was a poet and a revolutionary. Poetry and revolution, these two words are very distant. And yet, they are friends who can form an extremely intimate combination. His life itself, which devoted everything to justice and truth, is also poetry. It is said that Che Guevara never lost his original intention. The proof of this is his sincerity in abandoning his glory and leaving for a new revolution after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in Cuba.

Che Guevara defined injustice as the common enemy of humanity and was proud in front of it, and he recognized that revolution is achieved through sacrifice. Therefore, he was more sad than anything else about the betrayal of his comrades who had lost their original intentions while intoxicated by the sweetness of the fruit.

His two trips to South America gave the young Che Guevara a deep realization. He learned that the destitute and hungry common people were much more humane than the middle class to which Che Guevara belonged. In the end, the emotion of that day became the spark of revolution, so the essence of Che Guevara’s revolution could be said to be compassion and sympathy for humanity. Even he sometimes had limitations that he could not overcome. He hated injustice so much that he revived the death penalty, taking the lives of 14,000 pro-American and counter-revolutionary forces, even though it was not necessary.

Another thing is that, unlike Gandhi, he believed that injustice could only be fought through force. The question of which method is more effective in realizing justice will be answe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arget and situation, so let’s just ignore it.

Che Guevara did not indulge in the fruits of revolution, but sought out injustice wherever it was found. That is what makes him different from other revolutionaries. Although he was personally guaranteed a comfortable life as a doctor, he did not hesitate to enter the thorny field of revolution for the people, and after the Cuban Revolution, he threw away his positions as Minister of Industry and President of the National Bank, which guaranteed him power and wealth, and went into the mountains of Bolivia to become a guerrilla. This was a path that no other revolutionary had ever chosen in the past. Che Guevara, who seemed to have a heart of iron. Che Guevara, who knew better than anyone how his fate would end at every moment, Che Guevara, who walked the path of justice and truth that he had promised to the end, was a happy person. He must have lived with confidence in the goals he had set and the hope that those confidences might come true, so he might have been happy himself, unlike how others saw him.

He confesses that he shed tears endlessly in unbearable sadness. How should we accept this? At this point, let’s read a poem written by Che Guevara. The title is ‘To the Comrades Who May Be Exploiters of the Future’.

“Until now, I have shed tears for my comrades

I have never shed tears for my enemies. The tears that flow today, wetting this gun, may be the last tears I shed for my comrades. We have walked that long and arduous path together, and we swore to continue to walk together, but each time that oath crumbled, I felt a heartbreaking sadness rather than a surge of betrayal. Who has not had hardships and hardships? Who has not had a longing like starlight? How can we blame it on the passage of time? Even if you have left and are wherever you are, promise me this one thing. Do not point your swords at the people you once worshipped like gods, just like the exploiters of a handful of dictators and imperialists. Do not make yourselves miserable. I can endure any pain, but I cannot bear this sadness. This empty mountain from which my comrades have left is too wide. The stars in the night sky Still shining like that, the trees are still in their place, but this mountain is so quiet that my comrades have left. The stars are calling me from the other side. (translated by Lee San-ha)

The most frightening enemy of Che Guevara seen through this poem is not guns, not the huge capital of imperialism that annihilates humanity, not the entrenched ideology of socialism that takes away freedom, but the change of heart of his comrades. In other words, this poem sufficiently lets us guess how much the change of heart of his old comrades, who did not hesitate to “point their swords at the people they once worshipped like gods/like a handful of exploiters of dictatorship and imperialism/,” frustrated Che Guevara.

Che Guevara had already defined the pseudo-reformists and the foolish crowds that blindly cheer, intoxicated by their disguised slogans, as another enemy. In addition to ‘The Far Away’, we can sufficiently gauge the destination of the sadness and anger in Che Guevara’s heart in many poems.

“… Are our views too one-sided/ biased or hasty?/ Are our conclusions too stubborn? … (Writing a Latin travelogue) … I hope we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nfront all the injustices that someone in this world is suffering right now. … (To my young daughter) … Comrades, I will not say that I have no fascism/ in me at all/ No, perhaps it is more than anyone else’s/ How can I know myself/ How can I control myself/ But every time I do, I look at the barrel of this gun I am holding/ That narrow, dark hole looks like my chest/ As each bullet falls out/ The fascism inside me will also fall out one by one. … (The fascism inside me) … With joy and sorrow/ With a heart full of mixed emotions/ I leave Cuba/ Of all the hopes I wanted to achieve/ Leaving behind only the purest hope/ I leave. … (Leaving Cuba) … When I left Cuba, someone said to me/ You are a foolish revolutionary/ Who sows the seeds but does not know how to eat the fruits/ I laughed and told him/ The fruits are no longer mine/ And I still have many places to sow the seeds/ That is why I am a happy revolutionary… (A Happy Revolutionary)”

As can be seen in the many verses listed, Che Guevara was constantly on guard against the greed and hypocrisy that might be lurking within him. That is why he tried not to be ideologically rigid, felt sad for his comrades who indulged in fruits, and was angry at the cunning of fake revolutionaries who deceived the people with false pretenses.

He consoled himself by saying that he was a happy revolutionary who still had many places to sow seeds, while criticizing his former comrades who laughed at him as foolish revolutionaries and those who had suffered through the past with him, who had become vested interests and enjoyed all kinds of power and luxury, for not letting the fruits belong to them.

Countless people, brilliant debaters, admire Che Guevara and follow him, shouting, “Let’s all become realists.” However, one thing is clear: it is difficult for anyone to live like Che Guevara.

If they abandon their original intentions, the revolution is no longer just. The people’s expectations for the revolution, even if they were used as a tool, must be acknowledged as pure. However, the revolutionary slogans of the pseudo-revolutionaries are nothing more than propaganda, no matter how they package them. The court of history condemns this hypocrisy as an abstraction.

Since the pseudo-revolutionaries are not people who risk their lives for the sincerity of the revolution, they are content with reaping the fruits. In the process, the people become slaves who follow their beckoning. This is the tragedy of a misguided revolution.

Sadly, today’s Republic of Korea has become a country led by hypocritical reformists, just as Che Guevara feared. Those who once fought for democracy and freedom are now creating a new slogan to suppress freedom, trample on the people’s wishes, and damage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was achieved at the cost of blood. In addition, greedy people who have enjoyed luxury while ignoring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by clinging to unjust power still try to reign over the people.

And yet, it has become an era of silence. The Red Guards who treat hypocrites who have lived their entire lives with false words and actions as if they were righteous, the magic of disguising shameless criminals who committed suicide due to corruption and scandal as martyrs, a society where exploiting the weak who have nowhere to rely on and becoming rich and successful is justified, and yet shameless people who know no shame… If there is no resistance to the reality where the ‘law of us’ that says I can do it and you can’t is rampant, the country that our descendants will have to live in will be a hell that they have never seen before. If Che Guevara were to watch our country as it is now, he would shout out in a furious voice at the consci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Foolish people, open your eyes. Cowardly intellectuals, don’t hide. Pet media, break your pen. Fake revolutionaries, the fruits are not yours.”

Listening to Che Guevara’s aftermath, what we must do now is to engrave his verses in Gwanghwamun Square. ‘(…) Don’t point your sword at the people you once worshipped like gods/Like a handful of exploiters of dictatorship and imperialism/’

If any act is in the name of justice, in order to secure legitimacy, private interests should not be involved. Successful revolutions throughout history have always been followed by the retreat of the revolutionary leaders. Isn’t it worth pondering why so many feudal dynasties removed their loyal subjects after their successful revolutions?

This century is no different. The true success of a revolution is achieved when the fruits of its labor are returned to the people. This is an immutable truth. As long as we go against this truth, the world in which ‘humans live like humans’ that we so desperately desire will never come. And yet, even at this very moment, there are ‘comrades who have become future exploiters’ who are stabbing Che Guevara in the soul. Who are they? It is time to stop their reckless actions. lee606163@hanmail.net

*Author/Poet Lee Hyeon-woo.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