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샛별 기자 imfine@kyeonggi.com
기자페이지
임상 간소화·바이오클러스터 간 연계 추진, 송도 경쟁력 ↑

“인천은 모든 것을 새롭게 받아들이는 위대한 땅이자 바이오 산업의 성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인천을 바이오 산업의 핵심 기지라고 강조, 바이오 분야를 미래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규제 개혁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5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K-바이오, 혁신에 속도를 더하다’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인천은 이곳에 입주한 바이오 기업 등의 노력으로 바이오 산업의 성지로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오 분야는 대한민국 미래 산업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정부는 연구 개발과 규제 개혁 등에 열린 자세로 접근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해 세계에서 경쟁할 때 뒤에서 든든하게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K-바이오 의약, 글로벌 5대 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2030년까지 바이오 의약품 수출 2배 달성과 블록버스터급 신약 3개 창출, 임상시험 3위 달성 등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요건을 완화할 계획이다. 허가 심사에 인공지능(AI)을 활용, 심사 인력을 확충해 심사 기간을 약 4개월 단축하고 허가-급여평가-약가협상 동시 진행을 2027년까지 제도화한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시밀러 보급 활성화를 위해 처방 인센티브 등도 고려할 방침이다.
앞서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등 바이오시밀러 업계에서는 임상 3상 요건 완화와 보급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나왔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바이오시밀러는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옵션과 저렴한 가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국내 바이오시밀러의 보급은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비교해 느리고 낮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바이오시밀러를 처방하는 의사들에게 처방당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방안을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장려 정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오유경 식약처장은 “임상 3상이 지나치게 길고 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현재 미국·유럽 규제 기관과 실무 논의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3상 심사자료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를 위한 민·관협의체를 9월 중 발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은경 복건복지부 장관은 “의료 현장에서 오리지널 약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은 맞다”며 “약가제도를 개편할 때 바이오시밀러 처방시 의사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 등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도 시밀러 장려 정책 필요성에 공감하며 “약효가 동일하다면 굳이 비싼 오리지널을 처방할 이유가 없다”며 “반드시 개선해야 할 과제”라고 했다.
전국 곳곳에 있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연계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재 전국에는 인천 연수구 송도 등 10여개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있지만 지역 간 연계 연구 등은 부족한 상황이다. 정은경 장관은 “바이오 클러스터가 지역별로 있지만 클러스터 간 연계가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장비 공동 활용, 공동 연구 및 인력 양성 등 클러스터 연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복지부에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하면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 등 송도국제도시의 바이오 기업의 경쟁력이 커질 전망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송도는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바이오 클러스터를 갖추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 산업을 이끌고 있는 곳”이라며 “그동안 걸림돌이 됐던 임상 요건 등 규제 완화가 이뤄진다면 기업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더 확실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