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AI 경찰이 국민 안전에 닿으려면

2025-02-19

하늘을 나는 경찰차는 어린이 사생 대회의 단골 소재다. 국민 입장에서는 유능한 경찰이 현장을 누비며 범죄자를 신속히 검거하는 모습이 당연하다. 치안이 특정 집단이 아닌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안전을 맡고 있는 경찰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기술을 수사나 행정 등 각종 업무에 녹여내는 것 역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분위기다.

경찰도 이러한 기대에 부응해 사람의 힘으로 닿지 않는 안전 사각지대까지 손길을 뻗치기 위해 다양한 AI 기술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9년에는 비명만 듣고도 취객의 난동인지, 실제 위급 상황인지 판단하는 똑똑한 경찰차가 골목을 누빌 예정이다. CCTV에 비친 아이의 표정만으로도 아동학대 여부를 단 몇 시간 만에 파악하는 기술과 지문만으로 길거리를 배회하는 치매 노인을 안전하게 돌려보낼 수 있는 시스템은 이미 활약상을 보이고 있다. 올해도 사이버 범죄 수사 단서를 분석하고 추론하는 시스템과 불법 드론에 자동으로 대응하는 기술,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한 군중 밀집 관리 기술까지 민생 치안을 위한 각종 연구개발 및 용역이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언뜻 화려해 보인다. 하지만 경찰이 자연스럽게 용두사미의 늪에 빠져들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AI 기술이 한 조직에 정착해 실효성 있는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간과 예산 두 박자가 맞아야 하는데 경찰은 둘 다 없는 조직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 특성상 예산을 받기 위해서는 가시적 성과가 있어야 한다. 최근 국가기관들이 부실한 ‘챗봇’과도 같은 빛 좋은 개살구들을 앞다퉈 출시하는 이유기도 하다.

사건·사고·집회·시위 등 현안에 치이는 경찰은 빛 좋은 개살구조차 만들기 버겁다. 한 경찰 관계자는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구상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한데 예산은 가시적인 결과가 나와야 배정이 되고 예산을 받기 위해 가시적 성과에 집중하다 보면 국민이 필요로 하는 치안을 마련하기 위한 장기적 프로젝트 구상이 힘들어지는 악순환”이라고 토로했다.

국민 안전은 그 어떤 가치보다 소중하다. 그런 만큼 치안은 다른 분야에 비해 기술 도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경찰에 충분한 투자와 함께 기다려주는 기다림의 미덕도 필요한 이유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