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0' 번호를 '010' 번호로 변작하는 불법 중계소를 운영하는 등 피싱 사기로 350억 원 상당의 피해를 일으킨 조직원이 덜미를 잡혔다.
27일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전기통신사업법위반 등 혐의로 국내 관리자 A씨 등 63명을 검거하고, 이 중 혐의가 중한 56명을 구속송치했다고 밝혔다.
A씨 등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 27일까지 피싱 범죄에 사용된 중계기를 운영해 피해자 768명으로부터 354억여 원의 피해를 입힌 혐의를 받고 있다.
해당 중계기는 해외에서 발신한 070번호를 010으로 변경해 국내 수신자에게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다. 이들은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 등 전국 11개 시·도 원룸 등 건물에 중계기를 관리하는 불법 중계소 51개를 설치해 운영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A씨의 경우 20여 명의 조직원을 관리하며 중계기 설치 및 운용 방식을 비대면으로 교육했고, 각 조직원은 원룸 등 중계소로 운영할 장소를 각자 마련해 범행에 동참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직원들은 개인당 30∼40개의 중계기를 운영하며 월 400∼600만 원을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에 의해 변작 송출된 010 번호는 각종 피싱 범죄에 사용됐다. 구체적 피해 규모는 투자리딩사기가 638명, 노쇼사기 76명, 물품사기 등 36명, 보이스피싱 12명, 로맨스 스캠 6명이다. 피해자들은 최소 수십만 원에서 최대 27억 상당의 피해를 입었다.
총책인 B씨는 해외에 머물면서 관리책을 우선 모집한 후, 고액 알바 홍보글 등을 올리는 식으로 운영책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7월 별건의 마약류 투약자 검거 과정에서 중계기를 발견한 후 1000여 개의 CCTV 분석 및 계좌 60여 개를 분석해 51개 중계소를 모두 단속했다. 조사 과정에서 이른바 던지기 수법으로 범행에 필요한 휴대전화 단말기와 유심 등이 조직원들에게 전달된 정황을 포착했다.
조직원 중 일부는 중계기가 피싱 범죄에 사용되는지 모른 채 범행에 가담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경찰은 중계기로 수신되는 피싱 관련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이들이 범행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다고 판단해 사기 방조 혐의도 함께 적용하기로 했다.
이어 단속 중에도 진행되던 피싱 범행의 피해자들에게 사기임을 개별 고지하고 범행에 이용된 전화번호 1천213개를 통신사에 정지 요청했다.
또 통신 분석을 통해 해외에 체류 중인 B씨와 관리책을 특정해 국제공조를 통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미검거된 총책 B씨와 검거된 피의자는 모두 한국인들인 것으로 파악됐다"며 "불법 중계소를 운영하는 행위는 구속 수사로 이어지는 중대 범죄이므로, 고액 보수에 현혹돼 가담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



![[법정 선 보이스피싱] ⑦ "일반인 목소리 3초면 복제…해결책은 국제 공조"](https://img.newspim.com/news/2025/11/26/251126093341887_w.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