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 올라가려고" 치솟는 금값, 또 최고가 경신…미국 관세정책 영향

2025-04-21

국제 금값이 미국의 관세정책과 이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사상 최고가를 또 기록했다.

21일(한국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금 선물 가격은 이날 오후 3시 45분 기준 전장 대비 2.27% 오른 온스당 3404달러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3400달러선을 넘어섰다. 금 현물 가격도 이날 장중 3393.3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관련기사

  • "10억달러 짜리 결혼 선물이냐"…‘女전용‘ 우주관광에 갑론을박
  • 로레알파리, 앰버서더 미야오와 함께 한 ‘토탈 리페어 5’ 캠페인 공개
  • "수수료만으론 못 버텨"…커스터디 업계, 비트코인 스테이킹 시동
  • ‘서부지법 난동‘ 피의자 143명 檢 송치…소요죄는 적용 안 해

금 가격은 올해 29% 넘게 올랐으며 최근 10거래일간 저점 대비 14% 넘게 올랐다. 금 ETF 보유 규모는 2022년 이후 최장으로 12주 연속 상승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에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를 찍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치솟는 금 가격의 배경에는 미국의 관세정책 및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달러화 약세 및 미 국채 등 달러 표시 자산 매도 움직임,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집,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이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제롬 파월 의장 사임을 압박한 것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추측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내가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압박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18일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해임 가능성)에 대해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