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대선의 정치권 핵심 공약으로 등장한 주 4.5일제에 대한 찬성 여론이 오차범위 내에서 반대 여론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이 실현될 경우 주요 대상층인 20~50대와 사무 관리직에서 주 4.5일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이달 6~7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찬성 여론은 48%, 반대 여론은 42%로 집계됐다.
핵심 노동층인 20~50대에서는 찬성 비율이 절반을 넘은 반면 60~70대는 30%에 그치며 세대별로 뚜렷한 입장 차를 보였다. 30대는 찬성 59%·반대 33%로 찬반 격차가 20%포인트를 넘었고 18~29세도 찬성 56%·반대 38%로 찬반 격차를 크게 보였다. 40대와 50대에서도 찬성이 각각 54%·50%인 한편 반대는 39%에 그쳤다. 반면 60대와 70세 이상에서는 반대가 각각 56%·49%로 찬성(36%·33%)보다 15%포인트 이상 높았다.
직군별로는 사무관리직의 60%가 주4.5일제 도입에 찬성하며(반대 34%)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반면 자영업자의 경우 55%가 반대 의사를 표현하며(찬성 40%) 부정적인 인식을 내비쳤다.
중도·진보층에서 찬성 여론이 높았지만 보수층은 반대 여론이 우세하며 이념 성향별로도 찬반이 갈렸다. 진보층 응답자는 찬성 66%·반대 28%로 찬성이 2배 이상 앞선 반면 보수층은 찬성 29%·반대 63%로 반대가 2배 이상 많았다. 중도층은 찬성 56%·반대 34%로 찬성 여론으로 기울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주 4.5일제 관련 공약을 내놓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주 4.5일제를 거쳐 장기적인 주 4일제 추진을 대선 공약으로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경제5단체 간담회에서도 “주 4.5일제는 단계적으로 영역별 차등을 두고 점진적으로 바꾸겠다”며 주 4.5일제 도입 방침을 재확인했다. 국민의힘도 주 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법정 근로시간을 그대로 유지해 ‘노동시간 감축 없는’ 근무제로 민주당 공약과 대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