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로 세상 읽기] 물을 더 이상 ‘물’로 보지 말라

2025-04-02

매년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다. 인구와 경제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고 전 세계적으로 식수가 부족해지자,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하여 유엔(UN)이 정한 날이다. 현재 전 세계 4명 중 1명은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40억 명이 물 부족 지역에 살고 있다. 이 수치는 2050년까지 50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자연 상태의 깨끗한 물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인구는 전 세계 인구 중에 1% 남짓인 8000만 명에 못 미친다. 전 세계 인구 9명 중 1명은 오염된 물을 마시고, 오염된 물 탓에 장티푸스, 콜레라 같은 수인성 질병에 걸려 20초당 1명씩 사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물을 포함한 생태환경의 보존과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는다.

우리가 식수로 마시는 물은 지구의 혈관에 흐르는 피와 같다. 물은 결코 무한한 것이 아니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체가 영원히 살지 않듯이 지구도 나날이 그 생명력을 소진하고 있다. 지구 대기권의 수증기가 비로 내려 땅 속으로 스며들고, 태양에 데워진 물은 다시 수증기가 되어 대기로 증발하는 순환과정에서 온전한 양으로 교환되지 않는다.

이런 순환에는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비가역적 변화가 발생한다. 우리가 날마다 소비하는 물은 결국 서서히 그 밑바닥을 드러내고야 말 것이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수질오염으로 인한 그 희소성 때문에 물은 이제 ‘자유재’에서 ‘경제재’로 탈바꿈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수도꼭지를 틀면 지금 콸콸 쏟아지는 물을 ‘물’이 아닌 ‘금’으로 대할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아니 금이나 다이아몬드 없이는 살 수 있어도 물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인간이기에 물의 가치는 훨씬 그 이상이다.

지구상의 물은 97.5%의 바닷물과 2.5%의 민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5%의 물도 빙산과 눈 형태로 되어있는 것이 과반수고 지하수와 대기 중에 있는 수분이 일정 부분 차지한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지구상에서 쓸 수 있는 식수원은 0.0075%에 불과하다.

그 희소하고 귀중한 물을 전 세계 82억 인구가 ‘물같이’ 쓰고 있다. 우리의 생명과도 같은 귀한 식수원은 가정에서 쓰고 버리는 생활 폐수(특히 합성세재로 인한 오염), 정화 시설 없이 공장에서 내보내는 각종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포함된 폐수, 대기 중 각종 오염물질이 섞인 채 내리는 산성비로 오염되어 죽어가고 있다.

출애굽 후 수르 광야에서 극심한 갈증으로 고통당하는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한 나뭇가지를 던지게 함으로써 마라의 쓴 물을 단물로 바꾸어 주셨다(출 15:22-25).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모세가 염분과 같은 미네랄을 함유한 강알칼리성 샘물에 산성을 띠고 있는 열매 달린 대추나무 가지를 던져 넣어 중화시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마실 수 없는 마라의 쓴 물을 식수로 만들어 주신 하나님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생태신학적 의미를 전해준다. 수질오염으로 무수한 생명이 죽어가는 오늘의 현실 앞에서 출애굽기 15장의 이야기는 물을 포함한 생태환경의 보존과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히 목마르지 않는 샘물(요 4:14)’을 마시기도 전에 물 부족이나 오염된 물로 죽어가는 이들을 외면하는 것은 생명 경외를 몸소 가르쳐 주신 하나님을 멀리하는 것이다.

우리 세대는 오염된 쓴 물을 단물로 정화시키는 힘겨운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그 일을 하지 않으면 다음 세대의 사전에는 ‘희망’과 ‘생명’이라는 단어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물을 별것 아닌 것처럼 하찮게 여기는 생각과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우리 인류는 가까운 미래에 사막을 부유하는 순례자와 같은 삶을 살아야 될지도 모른다. 하여 물을 더 이상 ‘물’로 보지 말고 우리의 ‘피’같이 대해야 할 테다.

이상명 /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 총장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