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대 5G 요금제 출시에도 3월 알뜰폰 번호이동 줄었다

2025-04-02

전체 번호이동 역성장...알뜰폰도 25만건으로 전월 대비 2만건 감소

KT·LGU+ 망 1만원대 알뜰폰 요금제 출시 등 기대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알뜰폰업계가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출시했지만 시장에 효과가 크지 않은 모습이다. 지난 2월 말부터 1만원대 알뜰폰 요금제가 출시됐지만 본격적인 판매가 이뤄진 3월의 알뜰폰 번호이동 횟수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알뜰폰의 3월 번호이동 건수는 25만6132건으로 전월의 28만7491건과 비교해 2만건 넘게 줄었다.

전년 동기인 2024년 3월의 25만8229건과 비교해도 0.8% 줄었다. 3월 전체 번호이동 건수도 52만5937건으로 전월의 57만56424건보다 5만건 가까이 줄었다.

지난 2월 57만건으로 2017년 12월 이후 7년 만에 최다 수치를 기록했지만 다시 줄어든 것이다.

3월 번호이동 건수의 감소는 지난 2월 출시돼 역대 최다 사전판매 기록, 최단 기간 100만대 판매 기록을 세운 갤럭시 S25 시리즈의 신제품 효과가 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1월 번호이동 건수는 2월에 출시되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대한 대기수요로 일시적으로 줄어든 바 있다.

다만 알뜰폰의 번호이동 건수가 줄어든 것은 다소 의외로 꼽힌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알뜰폰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1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했다.

데이터 도매대가는 36.4%(1.29원/MB → 0.82원/MB), 음성 도매대가는 5.1%(6.85원/분 → 6.50원/분) 인하했고 알뜰폰 업체가 데이터를 대량으로 사용할 경우 도매대가를 할인해주는 구간과 폭도 확대해 데이터 도매대가는 기존 대비 최대 52% 떨어진다.

이에 알뜰폰업계는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지난 2월부터 출시하고 있다. 스마텔, 큰사람커넥트, 프리텔레콤, 아이즈비전 등 알뜰폰 업체들이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출시했다. 고명수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도 "1만원대 요금제가 출시돼 알뜰폰이 대중화되면 가입자를 2~3배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장 1만원대 20GB 5G 요금제의 출시가 알뜰폰 이용자의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번호이동 건수의 증감은 신규 단말기 출시의 영향을 받는다. 3월 알뜰폰 번호이동 감소를 단지 알뜰폰 시장의 부진으로 볼 수 없는 이유다. 2월에 출시된 갤럭시 S25 시리즈의 신제품 효과가 끝났기 때문에 전체 번호이동 건수와 함께 알뜰폰 번호이동 건수도 줄어든 셈이다.

다만 시장에서 1만원대 20GB 5G 알뜰폰 요금제가 예상보다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는 점은 분명하다. 한 업계의 관계자는 "1만원대 요금제는 지속적인 형태가 아닌 이벤트, 프로모션의 형태로 운영될 것으로 본다"며 "단발적으로는 효과가 있겠지만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2분기부터 알뜰폰 가입자가 늘어날 요인은 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인증중고폰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갤럭시 자급제 중고폰과 알뜰폰 요금제의 조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알뜰폰 업계의 관계자도 "중고폰은 자급제 단말기로 알뜰폰과 조합이 이전부터 많이 있었다"며 "삼성전자 인증중고폰 시작을 업계에서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평했다.

1만원대 알뜰폰 요금제도 더 많이 출시된다. 현재 출시된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는 모두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의 망을 사용하는 곳으로 향후 KT, LG유플러스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브랜드도 인하된 요금제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KT 관계자는 "인하된 도매대가를 적용하고 있고 선구매로 다량구매 할인을 적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도 알뜰폰 고객 확대에 나서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한 셀프개통 서비스도 도입했으며 미성년자 고객을 위한 셀프개통 서비스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공식 알뜰폰 온라인몰 '알뜰폰 닷컴(알닷)' 내에 외국인 전용 셀프개통 페이지를 새롭게 개설하고 중국어·베트남어·태국어·러시아어·영어 등 총 5개 언어로 가이드를 제공해 개통 과정의 편의성을 높였다.

미성년자 셀프개통의 경우 미성년자 고객이 부모의 계정으로 로그인해 법정대리인 관계를 인증 받으면 별도의 서류 없이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알뜰폰 개통이 가능하다.

홍주영 LG유플러스 CSS개발 랩장은 "외국인 대상 셀프개통 서비스를 통해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더욱 쉽게 통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며 "앞으로도 알뜰폰 고객 편의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도전과 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origin@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