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25시] "그때는 좋았지"…GDP 백브리핑 꺼리는 기재부

2025-04-20

한은, 24일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기재부, '백브리핑 폐지론' 내부 확산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한국은행이 오는 24일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합니다.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2.0%)에도 미치지 못할 거란 비관적 전망 속에서 시장은 경제당국의 '태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경제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는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통상 GDP 성장률은 한국은행이 담당합니다. 분기별 GDP 속보치와 확정치도 한은이 발표합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는 기재부도 분기별 GDP 발표에 동참했습니다. 기재부가 해설자로 나선 셈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바로 작년 1분기 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1.3% 증가하며 '깜짝 성장'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당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교과서적인 성장경로로의 복귀"라고 자평하기까지 했습니다.

들뜬 분위기 속에 기재부는 발 빠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기재부는 한은의 GDP 집계에 별도의 백브리핑을 열었습니다. 기재부가 한은의 GDP 발표에 대해 백브리핑을 연 건 전례가 없던 일로, 매우 이례적인 일로 꼽힙니다.

그러나 작년 2분기 GDP가 발표되면서 분위기는 반전됩니다. 상승을 기대했던 것과 달리 2분기에는 0.2% 역성장하며 경제의 그늘이 깊어졌습니다. 기재부 발등에 불똥이 떨어진 것이죠. 백브리핑을 진행하면 기자들의 송곳 질문이 불 보듯 뻔한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상황을 지켜본 기재부 한 관계자는 "어떤 수치에 대한 브리핑을 한 번 열면 그 후로는 좋든 싫든 계속 브리핑을 해야 하는데, 당시에는 그런 생각 없이 안일하게 브리핑을 개최한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작년 1분기 GDP 백브리핑 때는 국장급이 브리퍼로 섰지만, 2분기 브리퍼는 과장급으로 변경됩니다. 기재부 또 다른 관계자는 "브리퍼가 어떤 급이냐에 따라서도 사안의 중요성이 달라진다"며 "이후 3, 4분기 백브리핑 브리퍼도 과장급이 진행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올해 1분기 GDP 발표를 앞둔 지금, 기재부 내부에서는 백브리핑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관련 실·국에 재직하는 기재부 관계자는 "GDP 백브리핑은 기재부가 그동안 하지 않았던 것인 만큼 이제는 없애자는 의견이 있다"고 귀띔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기재부 관계자는 "만약 올해 GDP 백브리핑을 없앤다면 정부가 수치가 좋을 때만 공치사한다는 지적을 받게 될 것"이라며 "의연한 자세로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국민들에게 소상히 설명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경제 수치는 단순 숫자가 아닙니다. 그 수치를 경제 당국이 어떻게 말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시장의 인식이 달라집니다. 국민은 '성적'만 보는 게 아니라, '성적표'를 받아 드는 태도도 함께 봅니다. 기재부가 꺼내 든 카드가 정공법일지, 침묵일지는 오는 24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plu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