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11월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2025년 피부특성 정보은행 사업 결과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신행 원장은 인사말에서 “우리 기업들이 유럽 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 현지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품 현지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올해 타깃 국가로 선정된 튀르키예 피부 특성 분석 결과와 국가별 피부 데이터 구축 현황, 활용방법 등을 기업들에게 제공했다. 주요 발표는 ▲ 튀르키예 피부특성 정보 수집 결과-피부측정(더마프로 백지훈 소장) ▲ 튀르키예 피부특성 정보 수집 결과-화장품 이용행태(넥스트리서치 안증찬 이사) ▲ 피부특성 정보은행 소개 및 활용 예(연구원 양성민 선임연구원) ▲ 온라인 소비자 선호제품 및 제형 조사-미국 뷰티 시장 트렌드 결과(연구원 한솔빈 연구원) ▲ 피부특성 정보 플랫폼 소개(크리스아이티 김승윤 이사) 순으로 진행됐다.

튀르키예 이스탄불 거주 현지인의 피부 측정 결과에 대해 백지훈 소장은 “탈모, 피부 모공, 밝기, 주름, 수분량, 경피수분손실량, 색, pH, 탄력, 피지량, 민감도, 두피(수분·피지량·각질량) 등 다양한 항목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튀르키예인은 전반적으로 피부가 건조하고 톤 저하형 특성을 보였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보습·탄력·톤 개선 중심의 기능성 화장품 개발이 적합하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➊ 피부 수분 및 탄력 낮음 → 고보습 탄력 강화 케어(세라마이드, 펩타이드, 콜라겐) ➋ 피비 분포 불균형(T존 높음) → 피지 밸런싱, 수분·유분 조절 포뮬라 ➌ 피부색 전체적으로 명도 낮고 황색도 높음 → 브라이트닝, 안색 개선, 황산화 케어 ➍ 피부 장벽 약화 가능 → 약산성 저자극 포뮬라, 장벽 강화 제품 ➎ 모든 연령대에서 탈모상태는 정상에 가까움 → 30대에 대해 두피 비듬 케어를 위한 보습 진정 제품 등을 제안했다.
튀르키예 현지인 20~59세 여성 5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화장품 이용행태 조사 결과도 주목받았다. 안증찬 이사는 “40~50대는 주름·탄력저하·칙칙함 등 노화 고민이, 20~30대는 모공 확대와 여드름 관련 고민이 두드러진다”라고 특징을 분류했다. 또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만 인지도와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며, 헤리티지 기반의 과학적 신뢰와 합리적 가격, 현지화 전략을 결합할 경우 K-뷰티의 점유 확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지인 조사에서 ➀ 연령대별 피부 고민 → 4050: 안티에이징(주름&잡티 개선 듀얼 기능 제품) ➁ 자외선 차단 의식에 비해 PA지수 이해 부족 → UVA(노화·색소) 차단 설명, 메시지 강화 ➂ 미백용, 주름개선용 화장품 및 시술 경험 매우 낮음 → 임상 데이터 기반 메시지(before & after 효과 명확 시각화) ➃ 가성비/다기능 화장품 및 온라인 전환 가속화 → 합리적 가격대 & 소용량 SKU 제작, 멀티 기능 제품, SNS/인플루언서 기반 접근 ➄ 한국화장품 신뢰도 높으나 인지도·접근성 한계 → 현지 맞춤 라인 출시, 튀르키예 피부 특성 반영 등을 도출했다고 안 이사는 덧붙였다.
양성민 연구원은 “피부특성 정보를 활용한 AI 서비스를 위해 인사이트 스크리닝 문의가 많다. 개인정보 보호에 따라 사진 정보 제공은 어려우나 얼굴의 주요 랜드마크 좌표를 제공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한 활용 사례가 늘고 있다. 즉 ▲ 국가별 시트마스크 제작 시 국가별 특정값 미세 분석(얼굴폭, 미간, 입술 비율 등) ▲ AI 뷰티 디바이스 개발(가상 메이크업, 모바일 앱) 등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소개했다.

최근 K-화장품의 미국 시장 진출 증가에 따라 처음으로 현지 1040 여성 소비자 1천명 대상 온라인 소비자 선호제품 및 제형조사 결과에도 참석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한솔빈 연구원은 “기초·기능성·색조 화장품 전반에서 과학 기반 효능과 맞춤형 케어 중심의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안티에이징 시장은 예방 중심의 웰니스 방향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뷰티 시장의 주요 흐름으로 ‘하이브리드 뷰티’를 꼽으며, “단계 축소와 시간 절약이라는 MZ세대의 핵심 니즈를 충족시키며, 효율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트렌드”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 연구원은 “현지인의 심층 설문 조사 결과 ➊ 미국 시장은 지금 진출해도 늦지 않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 ➋향후 5년간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며 ➌ 현재 미국 진출 적기로 판단되며, ‘누구에게 팔 것인가’ 보다 ‘무엇을 팔 것인가’를 먼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는 사전등록 70여 명이 참석했으며, 올해 타깃 국가로 선정된 튀르키예의 유럽 및 중동시장 진출 거점이자 테스트 시장으로써 필수 정보를 확인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북스&] 1887년 독일서 시작된 ‘연구소’ 이야기](https://newsimg.sedaily.com/2025/11/14/2H0GAXY2MA_1.jpg)

![세계 곳곳 이름난 과학 연구소들은 "사회가 발명한 전략 장치"[BOOK]](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4/111d4cc3-8ebd-440e-b371-434e22d9e55b.jpg)



![[2026 수능] 출제본부 "한국사, 핵심적인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https://img.newspim.com/news/2025/11/13/251113204524549_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