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선택, 배우자의 선택, 대학의 선택, 대학 학과의 선택은 인간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주요한 선택이다. 그중에서도 고등학생에게는 대학의 선택과 대학 학과의 선택이 우선적이다.
과거엔 학과보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이른바 명문대학을 선호했다. 하지만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평생직장의 시대가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시대가 도래하다 보니 의사․변호사․공인회계사․변리사․약사․세무사 등의 전문직과 이른바 철밥통이라고 불리는 교사와 공무원 그리고 공기업 사원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다 보니 명문대학의 웬만한 학과보다 지방대학 일부 학과의 인기가 더 높다.
대학의 선택보다 대학 학과의 선택이 더욱 중요한 시대가 온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무엇보다도 평생직장(平生職場)이 대부분 사라지고 평균수명이 길어진 것이 가장 큰 이유이지만
첫째, 대학 학과는 전공이라는 이름으로 평생 동안 자신을 따라다닌다.
둘째, 전문가(專門家)를 지향하는 요즘은 더욱더 대학 학과가 자신의 직업 진로에 밀착되어 따라다닌다. 과거엔 출신 대학의 위상만 보고 직업 조직이 인재를 채용했다. 그래서 대학 졸업 후 비전공분야에서도 각광을 받고 두각을 나타내는 인재들이 많았지만, 이제는 전문화 시대의 도래로 소위 명문대학(名門大學)의 간판만으로는 비전공분야에서 각광을 받기는 불가능하다.
셋째, 대학 내에 부전공과 복수 전공이 존재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主)전공 학과이다.
한 번 선택한 대학 학과는 인생을 좌우한다. 그러므로 대학보다 취업과 장래를 고려한 학과를 먼저 생각해야 된다.
IMF 외환위기 때인 1997년까지는 대학의 선택이 학과의 선택보다 중요했지만, IMF 외환위기 후 대학의 선택보다 전공학과의 선택이 훨씬 중요해졌다. 일례로 명문대학의 웬만한 학과보다 지방대학의 약학대학이 인기가 더 높다.
많은 기업이 정규직보다 계약직을 선호하다 보니 장래에 대한 불안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는 사람이 엄청나게 늘어나 과거에는 인기가 없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인기가 하늘을 찌른다.
학부모와 교사 그리고 고등학생들의 철저한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교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학과의 선택이 더욱 중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을 기대해 본다.
돌아보면 대기업 취업경쟁률은 항상 수백 대 일이지만 중소기업에서는 쓸 만한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이다. 그렇다고 학생들에게 왜 대기업만을 가려고 하느냐고 탓할 수도 없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가 철저한 갑을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이윤의 배분이 공정하지 못하니 사원들의 처우에서도 큰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대기업 선호는 보수의 차이에서 오는 현상이다.
취업(就業)은 의사나 판검사가 된다면 너무너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대기업에 취업하면 최선이고, 사무관(5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교사로 취업하거나 중견기업에 취업하면 차선이며, 9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순경으로 취업해도 선망의 대상이다.
■ 참고 사항
1. 대통령 연봉(2025년) : 2억6천258만1천원
2. 의사 연봉(2022년, 전공의 제외) : 3억100만원
3. 의사 연봉(2025년 전문의) : 4억원 이상(추정액)
4. 판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5. 검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6. 사무관(5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799천원
7. 교사(기본급, 9호봉(일반직 공무원 1호봉), 2025년) : 2,366천원
8. 주사(6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309천원
9. 9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001천원
10. 순경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001천원
11. 경위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353천원